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뜸
d라이브러리
"
발효
"(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발효
조가 설치돼 있으며 여기서 매월 1백50t 이상의 미생물제제를 생산하고 있다. 이
발효
조는 컴퓨터로 제어되기 때문에 몇몇의 운영요원만이 공장을 지키고 있다.인바이오넷을 다른 바이오벤처와 구분짓는 것이 바로 생산시설. 인바이오넷이 주로 생산하고 있는 미생물 제품은 일반적으로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젖산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내놔 김치의 시원한 느낌을 살려준다. 연구자들은 김치
발효
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의 게놈을 차례로 분석해 세계의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김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미생물 게놈 연구 봇물농업과학기술원은 올해 안에 벼흰잎마른병의 원인이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위해 방문한 은행지점장은“아직 박사가 김치공장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없고 전공도
발효
학이고 하니 김치공장을 하면 어떠냐”고 말했다고 한다. 그런 지점장에게 당시 정사장은 10분 이상 할 말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동안 자금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한 결과 지금은 거래은행의 지점장이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제조시에
발효
잔류분을 제거하기 위해 고안한 이동식 여과기가 그것이다. 관(a)을 맥주
발효
탱크에 연결하고 압력을 가하면, 맥주 원액은 여과기가 설치된 드럼통(b)으로 이동된다. 드럼통 속에는 재생 셀룰로오스 여과판과 이를 지탱하기 위한 다공성 금속판 여러장이 번갈아 들어 있다. 드럼통에 ... ...
썩는 플라스틱 생산하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실용화를 앞당기고 있다.특히 이 연구실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고농도 배양
발효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 단위부피당 대장균의 수를 최대화시켜 시간당 PHA의 생산량이 세계 최고이다. 대장균의 PHA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에서 생산성이 향상돼야 하는데, 이 연구실에서는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벤처기업 사장 겸임을 허용하도록 규정한 '벤처기업 창어 및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발효
된 것이다.1999년 6월1일 김교수는 대학에 겸직신청서를 제출한 후 허가를 받아 사장으로 취임했다.그는 곧 비즈니스맨으로서의 능력을 아낌없이 발휘했다.그 첫작품은 1999년 9월 영국 바이오메디카와 ... ...
냄새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짧은 지방산을 분비한다. 휘발성을 갖는 이 지방산이 고약한 발냄새를 풍긴다.
발효
식품들 중에 고유한 냄새를 내는 것들도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청국장의 독특한 냄새도 콩속에 서식하는 바실러스 낫또 균이 대사후 만든 물질 탓이다.고기 냄새 왜 잘 빠지지 않을까"오늘 저녁에 생선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왕성하게 증식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렇다면 이 조류의 게놈을 분석해 필요한 부위를
발효
미생물에 삽입시키면 문제가 해결된다.비용도 비교적 저렴하다. 한 개체의 미생물 게놈을 완전히 분석하는데 10억여원 정도면 충분하다. 그렇다면 '상품화'할 수 있는 한국산 미생물을 수십개 선정해 이들의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 중에 효모(yeast)라는 단세포생물이 있다. 술을 만드는
발효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이다. 효모 가운데 몸의 일부를 떼어내 번식하는(출아법) 종류를 실험실에서 키워보면, 어미 효모는 출아를 8회에 걸쳐 행하고 난 뒤 죽어버린다. 1회 출아에 약 1시간이 걸리므로 ... ...
남극 세종기지 특명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다시 논의할 수 있다는 조항이 분쟁의 불씨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남극조약이
발효
됐지만 나라마다 남극대륙이 자국의 땅임을 암시하는 공식, 비공식 노력들을 기울였다. 나중에 영유권 분쟁이 일어나면 조금이나마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속셈이었다.아르헨티나는 1955년부터 남극에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