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효"(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법도 GDPR처럼 하나의 큰 규칙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 교수는 “GDPR이 발효되고 나면 국내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직접적, 간접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년간 쓰는 천연가스의 200배에 해당하는 양이에요. 하지만 남극에서 발견한 자원은 1998년 발효된 남극환경보호의정서에 의해 2048년까지 사용할 수 없어요. 그럼 2048년 이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자원 개발을 위해 남극 땅의 주인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입장과 환경 보호를 위해 계속 연구 목적으로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요하이 초콜릿’을 출시했다. 이 초콜릿은 패키지 1개에 유산균 2억 마리가 들어있다. 발효유 속 유산균의 수(10억 마리)보다는 적지만, 식품의 약품안전처가 권장하는 하루 섭취량(1억~100억 마리)의 범주에 든다. 개발을 이끈 양시영 롯데중앙연구소 상무는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들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한량 같은 시간을 보낸 우리는 또를 따라 농장을 둘러봤습니다. 또는 화학비료 없이 풀을 발효시켜 좋은 흙을 만들고 커피콩 껍질과 쌀겨로 비료를 만듭니다. 농장에 있는 꽃과 풀을 따서 차를 우리고, 음식을 담는 도자기 그릇도 직접 빚지요. 농장을 둘러보고 떠날 때까지 강아지 두 마리가 우리를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제 힘으로는 부족해서 당시 가장 성능이 좋은 믹서기를 사서 실험에 사용했어요. 또 발효에 사용할 미생물을 키우고 에탄올을 추출하는 등 실험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충남대학교로부터 도움을 받았답니다.Q.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저도 초등학교에 다닐 때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손쉽게 탄저균을 만들어낼 수 있다. 고위험 병원체를 무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미생물 발효 기술, 미생물 포자생산 기술, 세포 및 바이러스 배양 기술, 분리정제 기술, 병원체 보존 기술 등이 필요한데, 이 중 대다수는 살충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다. 북한은 이런 기술들 역시 CABI로부터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엿당이 분해되며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낸다. 즉 아밀레이스는 효모가 곡물을 발효시키기 좋게 자르는 역할을 한다. 흥미로운 것은 품종에 따라 맛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아밀레이스의 양이 제각각이라는 점이다. 대표적인 예가 제주산 맥주 ‘제스피’에 쓰인 백호보리다.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0.1016/j.foodchem.2013.03.070).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고기와 젖, 채소 등을 오랫동안 끓이거나 발효 시키면,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여러 가지 아미노산이 생겨나 풍미가 깊어진다고 설명해왔다. 그런데 연구팀은 펩티드 중에서도 글루타티온과 글루타밀-바릴-글리신(glutamylvalyl-glycine)은 칼슘맛 수용체 ... ...
- Part 2. [디저트] 신선한 인공 우유와 인공 달걀로 만든 달콤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카세인’이 80%, ‘훼이’가 20%를 차지해요. 이 두 단백질 유전자를 갖게 된 효모는 ‘발효’ 과정에서 우유 단백질을 만든답니다. 이 단백질에 식물성 지방과 비타민, 칼슘 같은 각종 영양분을 넣으면 마실 수 있는 우유가 되지요.이 인공 우유는 진짜 우유와 거의 똑같은 맛과 질감을 내고, 우유의 ... ...
- [Issue] 내 똥이 ‘약’이 되는 똥 이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등 ‘해로운 균’에 비해 훨씬 수가 많아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로운 균은 음식물을 발효시켜 소화를 돕거나, 장벽에 들러붙어 기자해로운 균이 번식하지 못하게 한다. 건강한 장내세균 생태계는 이로운 균이 약 85%, 해로운 균이 약 15% 정도다. 세균의 종류가 다양할수록 건강하다. 그런데 항생제를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