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효"(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혀뿐만 아니라 눈, 코, 입, 귀, 장기 등을 통해 느낀 여러 감각을 뇌가 종합해 ‘맛있다’라는 판단을 내리면, 우리는 그 음식을 ‘맛있는 음식’이라고 기억하게 ... 만든 양념. 장 이외에도 미생물 발효로 생산하는 글루탐산나트륨(MSG), 핵산 조미료 등이 있다(발효용어사전, 식품과학회)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넓히는 방법이기도 해요. 2014년 10월 평창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이후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종을 각 나라의 자원으로 인정하고 있어요. 이제는 생물다양성이 바로 국가의 재산이 되는 시대가 된 거예요. 결국 신비한 동물은 학문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금전적인 가치도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연설문을 준비하며 우리나라도 바다쓰레기 투기를 법으로 금지하는 ‘런던협정(2006년 발효)’에 가입했음을 알게 됐습니다. 그런데 2016년도에서야 모든 육상폐기물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됐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바다쓰레기를 강하게 제재하면 좋겠습니다. 이번 활동을 통해 지구와 인간의 ... ...
- [핫이슈] 새콤달콤 여름을 즐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만들어 낸답니다.우리나라에 쌀을 발효시켜 만든 막걸리가 있다면 유럽엔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포도주가 있어요. 그런데 포도는 자연 효모를 어느 정도 갖고 있어요. 포도처럼 당도가 높은 과일의 껍질엔 효모가 살고 있거든요. 그래서 포도를 그대로 오래 두면 알코올 냄새가 나기도 한답니다 ...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년 12호
- MSG의 99%는 덩치가 큰 단백질 상태로 존재한다. 유리MSG는 1%에 불과하다. | 닭1867g◎ 발효 : 단백질을 끊어서 감칠맛 성분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추출 : 재료를 오래 끓이면 감칠맛 성분이 최대로 녹아 나온다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려볼 수도 있다(한국에선 아직 법적으로 불가능하지만). 비슷한 방법으로 맥주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우리가 먹는 식품의 유전자조작 여부도 외부 유전자의 흔적을 PCR로 증폭해 알아낼 수 있다.실험에 필요한 장비를 노트에 차례대로 적어보니 10개 정도였다. 여기서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마치 코알라처럼, 나무 위에서 쉬면서 뱃속에 있는 나뭇잎을 발효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섬에 사는 일부 원숭이들도 초록 잎을 주식으로 삼는다. 각각 ‘큰대나무여우원숭이’, ‘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황금대나무여우원숭이’다.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흡수되지만, 0.01Hz 음파는 지구를 한 바퀴 돌 수 있다. 1963년 부분적핵실험금지조약이 발효되면서 연구가 거의 중단됐는데, 30여 년이 흐른 1996년 유엔(UN)이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을 채택하면서 전세계를 대상으로 핵실험을 감시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 지진파, 수중음파, 핵종감시와 함께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우리나라에 전해진 거고요.좀더 쉽게 간장을 구분할 순 없을까양조간장은 메주를 이용한 발효 과정을 본딴 것이라 전통간장에 좀더 가깝다고 볼 수 있어요. 또 양조간장이 산분해간장보다는 거부감이 없고, 발암물질 논란에서도 자유로운 편이에요. 그렇다고 산분해간장이 문제가 있다는 뜻은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주, 뉴저지 주는 이미 금지 법안이 발효된 상태며, 뉴욕 주는 2015년 12월 31일부터 발효된다(2015년 12월 20일 기준). 우리나라는 아직 법제화를 하려는 움직임은 없다. 고정금숙 여성환경연대 환경건강팀장은 “국내에서는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