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효"(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연구를 위해 다양한 미생물을 갖고 있어요. 우리는 이 미생물을 이용해 빵과 치즈, 여러 발효 음식을 만들 수 있지요. 또, 저는 생물학자라 연구를 위해 채소를 갖고 왔어요. 덕분에 신선한 샐러드도 먹을 수 있지요.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신선한 과일을 정말 먹고 싶다는 거예요.Q 영화 을 ... ...
- 아이스크림을 천천히 녹게 만드는 물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교수팀이 발견한 단백질은 사람이 아닌 박테리아가 만들어낸 단백질이에요. 주로 콩을 발효시킬 때 나타나는 박테리아에서 만들어지죠. 이 단백질은 아이스크림 안에 들어 있는 지방, 물, 공기에 모두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요. 그 결과 단백질이 얼음 결정을 코팅하는 역할을 해서 아이스크림 속의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역시 너무 과식하게 되면 가용성 섬유소를 몹시 좋아하는 장내 미생물이 과도하게 발효를 일으켜 장 안에 메탄 가스가 급격히 많아진다. 배가 꽉 찬 듯한 불쾌한 느낌과 메스꺼움이 동반된다.지금도 배고픈가? 그러나 당신의 몸은, 소화생리학적으로 지금의 엄청난 포식량을 감당할 수 없다.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요산이 만들어지기 전에 먹는 것이 좋아요. 요리의 비밀 3 다중감각맛있는 음식에 불과 발효의 비밀이 숨겨져 있었다니 정말 대단하네. 이제 맛의 비밀은 다 풀린 건가? 뭐? 후각과 시각, 청각도 맛에 영향을 미친다고? 아니, 맛은 혀로 보는 건데 그게 무슨 소리야?음식의 맛은 후각이 결정한다?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훨씬 많다는 점을 들었다. 요거트는 많아야 두세 종의 유산균을 발효에 이용한다. 다른 발효음식도 10여 가지 종류 이내다. 그런데 김치는 어떤 유산균이 들어있는지 모를 정도로 종류가 다양하다. 미생물의 종류가 많으니 그들이 내놓는 기능성 물질 역시 훨씬 다양하다. 김치의 재료 자체가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가을에 담근 와인은 그해 겨울도 넘기기 힘들었다. 와인을 숙성시키기 위해서는 포도를 발효시킬 때 사용한 효모를 제거해줘야 하는데 이런 기술은 파스퇴르가 등장한 19세기에 나타났다.파스퇴르는 어느날 와인 맛이 변질되는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파스퇴르는 효모를 비롯한 다른 ...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보다 잘 삼키게끔 제조사에서 첨가하는 감미료 맛이다. 인공적인 과일 향은 알코올을 발효할때 생기는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숙시네이트 등에서 비롯된다.시판 소주와 달리, 과일 소주는 다양한 과일즙을 첨가한다. 이런 과일 소주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10~20여 년 전에도 대학가에 과일 소주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원료가 가득하다.2 동물의 똥을 한데 모은다.3 모은 똥을 밀폐용기에 넣고 오랜 시간 동안 발효시킨다.4 똥에서 나온 메탄가스를 저장고나 풍선에 따로 모은다.5 메탄가스를 발전 시설로 보내 태운다. 이 힘으로 모터를 돌려 전기를 만든다.나뭇잎의 광합성 비결을 배워라!생물을 직접 이용해 전기를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없다는 뜻”이라며 “다양한 미생물이 향미물질이나 생리활성물질을 만드는 전통 발효 간장에 비해 품질 차이는 날지 몰라도 식품으로서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 산을 이용한 분해 공정 과정에서 건강에 영향을 끼칠지 모르는 부산물이 생긴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박사는 세균에서 '적응면역'을 최초 로 발견해 2007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요구르트 발효에 사용되는 대량의 유산균을 배양 할 때 세균 감염을 막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특히 유 산균을 죽이는 박테리오파지가 나타나면 애써 키운 유산균이 떼죽음을 당할 수 있다. 다니스코의 연구자들은 이렇게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