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뜸
d라이브러리
"
발효
"(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체 에너지 '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식물성 원료를
발효
시킨 뒤 증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탄수화물이 풍부한 옥수수나 설탕이 많은 밀과 보리, 콩, 사탕수수, 감자 같은 식물이 에탄올의 원료다. 신호의 감쇄나 이득을 나타내는 통신 단위예를들어 음성신호 등은 스스로는 멀리 전파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반송자 ... ...
바이오 에탄올 만드는 인공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열어준다”고 말했다. 가뭄 스트레스에 끄덕없는 식물바이오 에탄올은 글루코스(당)를
발효
시켜 만든다. 글루코스는 식물세포벽의 원료인 셀룰로스에서 얻는다. 주변에 널려 있는 식물의 세포벽에서 바이오 에탄올을 얻을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 셀룰로스가 글루코스가 되려면 셀룰레이스라는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질소와 산소는 입으로 들이 마신 공기에서 만들어졌고, 나머지 성분은 몸속에서 소화 와
발효
를 거치며 생겨난다.보통 사람이 하루에 뀌는 방귀는 작은 생수 한 병 정도의 양(600㎖)이다. 원래 방귀는 냄새가 없지만단백질을 분해할 때 나오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이 지독한 냄새를 만들기도 한다 ... ...
볼록한 몸매가 맛을 좋게 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열을 고르게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야 내용물이 썩지 않고 고루
발효
될 수 있습니다.보통 옹기는 햇볕이 잘 드는 양지에 두는데 아침과 한낮, 저녁의 해가 비치는 각도는 각각 틀리지요. 만약 옹기의 허리가 볼록하지 않고 나머지 부분의 지름과 똑같다면 햇볕을 고루 받을 수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때 냉장고 안의 찬 공기가 뭉텅이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막았다. 김치 맛을 좋게 하는 ‘
발효
과학’의 비밀은 온도 조절인 셈이다.반도체 산업도 좋은 실리콘 결정을 만들기 위해 온도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일이 기초다. CPU나 메모리 같은 반도체 칩은 대개 기판(wafer)이라는 실리콘 판 위에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다시 메탄 생성균에 의해 메탄 ·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중온
발효
(34~38℃)와 고온
발효
(51~53℃)가 있으며, 온도를 올리면 소화일수가 단축된다 금속 정련법의 하나 금속의 교환에 의해 정련되며 원자로 재료인 베릴륨 이외에 여러 종류의 금속에 응용되고 있다금속 칼슘을 만들 때에 생석회와 규석과 ... ...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관한 대통령 명령 제 17호’에 서명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 새로운 명령이
발효
됨으로써 미국은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강조하던 클린턴 정부의 옛 우주정책을 폐기하고 우주무기의 배치를 허용하는 새로운 정책적 근거를 마련했다.이 명령에 포함된 우주사업에는 ‘XSS-11’이라는 ASAT용 초소형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누룩’이라는 뜻의 ‘홍국’은 반자자낭균과에 속하는 홍국균(Manascus pilosus)을 넣어
발효
시킨 누룩으로, 홍국에 들어있는 천연물질(Monacolin-K)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고지혈증을 예방하는 효과로 의약품으로 세계에 판매되고 있다. 홍국미는 홍국균을 밥쌀에 배양해 만든 기능성 쌀이다.서울대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있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전주대 식품영양학과 진효상 교수는 김치와 고추장 등
발효
식품에서 독특한 맛을 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진 교수는 “두 미생물은 김치의 특징인 매콤하고 새콤한 맛을 내는데 작용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김치를 담글 때 이들 미생물을 넣으면 같은 맛을 내는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돌연변이 물질이나 발암성 물질 등을 검사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바이오센서는 의료
발효
공업 식품공업 등에 폭넓게 이용될 전망이다 이것의 메커니즘은 효소 또는 미생물을 얇은 막 등에 고정시켜, 이에 전극을 붙여 그 반응을 컴퓨터가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만약 용액 중의 화학물질에 효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