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맛"(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구마 안에 역사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잘 익은 고구마 속살은 달콤한 맛뿐만 아니라 인류의 역사도 품고 있어요.지금까지는 남미에서만 자라던 고구마를 16세기 유럽 사람들이 전 세계로 퍼뜨렸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하지만 1000년 경 태평양 폴리네시아에서도 고구마를 먹었다는 기록이 발견되었답니다. 프랑스 국제농업협력센터는 100 ... ...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토끼의 공생 관계나 생선 비늘을 이용한 플라스틱 대체제, 귀뚜라미 소리 악기…. 비록 맛이 궁금해지는 굼벵이 술은 아직 확실히 밝혀진 것이 아니었지만 나머지 연구를 보면 연구자들, 특히 학생들의 상상력에 놀라지 않을 수 없어. 외국에선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실제로 노벨상을 타는 경우도 ... ...
- 와이어 타고 춤추며 ♪ 큰 소리 로 노래 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주연 로빈훗 역을 맡은 이지빈이라고 해. 이제부터 너희들에게 뮤지컬의 혹독한 세계를 맛보여 주지.일단 숨쉬기부터! 합창단에서 연습할 때 배웠지~. 기본은 복식호흡이야.둘이서 함께 호흡하는 거?그건 구기 경기의 단식과 복식이고, 내가 말하는 건 배로 하는 호흡, 복식!민서가 잘 아는구나~. ... ...
- [3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첨가되고 포화지방산 비중이 높은 팜유에 튀겨진다. 라면 맛의 핵심인 스프는 어떨까? 그 맛에서부터 느낄 수 있듯이 스프는 말 그대로 ‘조미료 덩어리’다. 햄버거도 라면과 마찬가지다. 수입밀가루를 사용하고, 달고 짠 각종 소스가 많아자극적이며 건강에 좋지 않다. 특히, 패티에는 소에게 ...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수확 기간의 강수량이 적고, 반대로 재배 기간의 기온은 높고 겨울철 강수량은 많아야 맛 좋은 와인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실제로 와인을 생산하는 곳에서 이 공식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어요.또 다른 예를 살펴볼게요. 현재 미국에서는 독감이 유행해 사망자수가 100명을 ... ...
- 소금, 천연 좋아할 것 없고, 합성 싫어할 것 없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나트륨은 똑같이 들어갔다고 봐야지요. 오히려 마그네슘같은 미네랄이 너무 많으면 쓴맛이 나기도 합니다. 미네랄이 얼마나 들었기에그러면 이제 천일염에 들어 있는 미네랄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를 따져 봅시다. 마그네슘, 칼슘, 칼륨 같은 미네랄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인 것은 ...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표본을 뽑았다. 된장국의 간을 볼 때 먼저 숟가락으로 국솥을 휘저어 균일하게 만든 다음 맛을 봐야 하는데, 리터러리 다이제스트는 식어버린 국솥의 윗부분만 많이 떠먹은 셈이다. 이 사건은 실패한 여론조사의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한국에서 선거 예측조사는 1987년 제13대 대선에서 처음 ...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세포는 피부에 있는 감각 세포로 고통과 가려움에 반응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었다. 매운 맛을 내는 물질인 캡사이신과 열에는 고통신호를, 알레르기 물질인 히스타민과 말라리아 약 치료제인 클로로퀸에는 가려움 신호를 뇌에 보낸다. 고통 신호를 보내는 기능은 확인됐지만 가려움 신호를 ...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유지, 밀전분, 양파맛 시즈닝, 버터, 크림, 구연산, 로즈마리, 유화제, 합성착향료(양파맛)…. 어디에도 육류는 없고 심지어 어패류도 없다. 락토오보 채식인이 먹어도 무방하다. 그런데 문득 서늘한 기분이 든다. 대표적인 인스턴트 식품인 과자가 몸에 좋을 리 없지 않은가.그렇다면 쓰레기 음식 ... ...
- 내 마음이 보이니? 여론조사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전체 건강 상태를 파악합니다. 국물의 간을 맞출 때도 한 숟가락만 떠서 맛을 보고 국의 맛을 결정하죠.하지만 우려했던 것처럼 표본을 잘못 뽑으면 전체 의견을 틀리게 추측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국물이 싱거워 소금을 넣었는데, 국물을 잘 섞지 않고 떠먹으면 짜거나 싱거울 수 있죠. 따라서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