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품"(으)로 총 1,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속에 우글거리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클로렐라, 스피룰리나와 같은 미세조류는 건강식품이나, 우주인의 식량으로 개발됐다. 이들이 앞으로 우주시대를 맞는 인류의 주식이 될지도 모른다. 또 석유가 바닥이 나더라도 자동차를 움직이게 해줄 것이다. 작지만 대단한 힘을 가진 작은 거인, 물이 있는 ...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제주 바다에 나타난 분홍멍게와 석회조류, 호리병말미잘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모두 식품으로도, 관광자원으로도 그다지 쓸모가 없다.하지만 장 소장은 “이들을 해로운 생물만으로는 볼 수는 없다”며 “아열대성 기후인 나라에서는 오히려 돌산호를 보호종으로 지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 아이스크림이 혀에 착 감기는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빙과류는 맛이 확연히 다르다. 이유가 뭘까. 백견이 불여일식(百見不如一食). 빙그레 식품연구소 아이스크림 개발실 김성택 실장이 건넨 아이스크림을 한 숟가락 떠 먹으며 취재를 시작했다.풍미를 결정하는 유지방“음~.” 아이스크림 특유의 부드러운 크림 맛이 느껴졌다. 정확히 말하면 ...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그럴 리가 없어요~! 징그러운 곤충을 누가 먹어요?”“지금도 이미 많은 나라에서 곤충을 식품으로 즐겨 먹고 있는 걸?” 냠냠! 세계는 곤충을 먹는다유엔 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현재 아프리카, 중남미, 아시아 등 90여개 나라에서 1400여 종의 곤충을 먹고 있다. 주로 메뚜기와 귀뚜라미, ... ...
- Intro. 건강기능식품 먹으나 마나?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무더운 여름, 힘이 달리고 지칠 때 우리는 비타민, 헛개나무, 홍삼 등 건강기능식품을 찾게 된다. 무릎이 좋지 않은 할머니는 글루코사민을, 오랜 시간 집중해 눈이 침침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건강기능식품 먹으나 마나?Part 1. 비타민, 추락하다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피로를 회복시켜준다는 비타민, 관절염에 좋다고 하는 글루코사민 , 암 예방 효과가 있다고 하는 셀레늄 등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에서 인정한 건강기능식품 은 37개 품목으로 ... 계속 보시려면?Intro. 건강기능식품 먹으나 마나?Part 1. 비타민, 추락하다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비타민에 대한 의학계의 인식이 최근 크게 변하고 있다. 101년 전 처음 발견돼 최고의 영양소로 추앙받았던 비타민의 주가가 한없이 추락하고 있는 것이다. 과연 비타민의 흥망성쇠에는 ... 계속 보시려면?Intro. 건강기능식품 먹으나 마나?Part 1. 비타민, 추락하다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미국 하와이에 있는 시아노텍의 미세조류 농장 전경. 연료용이 아니라 건강식품용으로 남조류인 스피룰리나를 키우고 있다.]“예전에는 호수에 생긴 녹조(미세조류 덩어리)를 어떻게 없애는가 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어떻게 하면 녹조가 생길 정도로 미세조류를 잘 자라게 할 수 ...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달 국내에서 세계 첫 줄기세포치료제가 탄생했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바이오기업 ‘에프씨비파미셀(FCB파미셀)’이 개발한 ‘하티셀그램-AMI(이하 하티셀그램)’을 허가했다. 이 약은 죽은 심장세포를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심장질환을 치료한다. 하티셀그램은 차세대 심근경색 ...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공통으로 방어할 수 있는 것이다.플루미스트는 효능을 인정받아 지난 2003년 미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지금까지 미국에서만 2700만 명이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플루미스트를 사용했다. 신종플루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해에는 플루미스트를 신종플루 백신으로 이용하기도 했다.2009년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