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diet
다이어뜨
식이요법
체중감량
살빼기
다이어트식품
다이어트링
뉴스
"
다이어트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금연을 하는 건 ‘담뱃값이 올라서’가 아니야
2015.01.15
Y염색체 없애는 건 오직 담배 뿐> 동아사이언스 신선미 기자 pixabay 제공 3. 흡연
다이어트
는 거짓말, 오히려 살을 더 찌게 한다! 오히려 담배연기에 노출되면 인슐린 저항성이 떨어져 달콤한 음식과 고지방 음식을 즐겨 찾게 되므로 체중이 증가한다. 직접흡연뿐 아니라 담배연기를 맡는 ... ...
배부른데 살 빠지는 ‘진짜’
다이어트
약 개발
2015.01.06
meal)’과 비슷하다”며 “몸은 진짜 음식을 먹은 것처럼 반응하는 데 실상 칼로리가 없어
다이어트
효과가 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펙사라민이 임상시험에 돌입하기 위한 이전 시험 단계를 모두 마친 상태”라며 “담즙 수용체를 자극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다른 약들보다 안전하다”고 ... ...
담배 피면 살 빠진다고? 거짓말!
2014.11.05
미국 브리검영대 연구팀은 담배 연기가 체중을 늘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흡연이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는 그동안의 속설과 상반된 결과다. 연구를 진행한 벤자민 빅맨 교수는 “간접 흡연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담배를 피우지 않더라도 가족 중 흡연자가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내 똥배는 정말 밀가루 때문일까?
2014.10.26
제목이다.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책은 단순한
다이어트
책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내 알게 됐다. 심장병 전문의인 저자가 자신의 임상 경험과 의학계 연구 결과를 모아서 밀이 현대인의 건강에 얼마나 큰 위협인지 고발하는 책이었다. 저자는 밀가루가 평범한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셈이다. ●식이섬유 풍부해 장 건강에 좋아 학술지 ‘식품화학’ 최신호에는 사과의
다이어트
효과를 다른 관점에서 조명한 논문이 실렸다. 즉 포만감 대비 칼로리가 낮은 게 이유라는 기존 열역학적 관점이 아니라 장내미생물의 조성에 영향을 주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역할에 주목한 것. ... ...
“전기 절약하느라 불편하셨어요? 이제 그러지 마세요.”
2014.09.17
뒤에는 서울시의 지원으로 '미스터 갈릴레이의 3+1절전키트', '1분 투자 월 7000원 전기료
다이어트
전자책' , 콘센트별로 전원을 끌 수 있는 멀티탭을 전원에게 무상배포했다 ... ...
'더도말고 덜도말고' 추석처럼 폭식하다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9.06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대에 기름지고 칼로리 높은 음식들이 넘쳐나는 추석은 '
다이어트
요주의' 시대다. 추석 앞뒤로 이틀간 먹는 음식 열량만도 1만 Cal로 권장섭취량의 2배가 넘는다. 호주 애들레이드대 스티븐 켄티쉬 박사팀은 이처럼 폭식을 할수록 ‘렙틴’ 호르몬이 정상적으로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낮춘 제품이 그렇게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다만 ‘칼로리 제로’를 컨셉으로 하는
다이어트
콜라 같은 제품은 나름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학술지 ‘유럽신경과학저널’에 실린 한 논문에 따르면 이런 제품의 성공비결은 따로 있는 듯하다. 즉 이런 음료에는 보통 카페인이 진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한다. 그 결과 놀랍게도 6주 만에 발작이 사라졌다고. 글에 따르면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를 한 환자 가운데서 40%가 발작이 절반 이하로 줄었고 10%는 완전히 사라졌다는 것. 지방을 많이 섭취하는 게 어떻게 뇌전증 발작을 줄이는지는 아직 정확히 모르지만 뇌전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 ...
[채널A] 청소년 굶는
다이어트
…어른 되면 폭식증
동아사이언스
l
2014.07.21
다이어트
를 위해 일부러 굶거나 토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10명 중 3명꼴. 이런 극단적인
다이어트
는 성장기 청소년에게 특히 위험합니다. 오랫동안 굶거나 고열량 음식을 불규칙하게 섭취하면 포만감과 배고픔을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기는데 반복되면 뇌의 ‘회로‘에까지 영향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