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뜸
d라이브러리
"
발효
"(으)로 총 393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마자동차 소저너
과학동아
l
199611
등 당류로부터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 락트산균 또는 유산균이라고도 한다 젖산
발효
로 생성하는 젖산에 의해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을 저지하며, 유제품 김치류 양조식품의 제조에 이용된다위성에서 보내는 소리나 영상을 실은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접시형 안테나알칼리 및 알칼리 ... ...
통신 민주주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611
통신부에 국민의 통신 행위를 제한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컴퓨터 과학 발전법’을
발효
시켰다. 이 법은 또한 국가의 사전 허가 없이 컴퓨터 네트워크를 링크시키거나 정보기술을 이용해 국가 안보를 저해하고 국민의 단합을 깨는 사람에게도 같은 처벌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10
중화하여 모노나트륨염을 얻었다그 후 당밀에서의 제조법, 글루코오스에서의
발효
법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원료로 한 합성법 등에 의해 만들게 되었다 인지질(燐脂質)의 중요 구성성분 글리세린인산 · 글리세롤인산이라고도 한다글리세린과 인산이 1분자씩 결합하여 생기는 글리세로 인산의 칼숨염 ... ...
4. 숙취해소 컨디션·아스파·비지니스
과학동아
l
199610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36% 정도 감소시킨다는 실험 결과가 보고됐다.비지니스는 식물
발효
액인 바이오짐과 함께 올리고당과 비타민 등이 주성분을 이룬다. 바이오짐은 시험관에서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14%까지 증가시킨다. 하지만 알코올 탈수소 효소를 활성화시키지는 못한다. 한편 ... ...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09
받고 있었다. 먼저 현존하는 원시형태의 박테리아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포도당을
발효
시켜 에너지를 얻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적어도 이 박테리아가 나타나기 전에는 산소가 없었다는 말이다. 또 광합성을 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박테리아가 나타난 시기는 24억년 전이었다. 그렇다면 45억년 전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06
필요한 에너지를 내기 위해 무기호흡인 젖산
발효
가 일어난다. 식물의 경우도 알코올
발효
에 의해 에탄올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무기호흡을 하는 효모도 산소의 공급이 원활할 때 산소호흡을 하기도 한다. 탐구활동(자료해석)숨을 참고 얼마나 버틸수 있을까어린 동생이 숨을 참고 있다고 하더라도 ... ...
맥주병 색깔에 담긴 비밀
과학동아
l
199606
이를 단순화한다면 맥주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로 즙을 낸 다음 여기에 호프를 첨가해
발효
시키고, 일정 기간 동안 저장 탱크에서 숙성시키는 공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이렇게 만들어진 맥주는 병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20여분간 60 °C의 수증기를 쏘이는 열처리 과정(저온살균)을 거침으로써 효모의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03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생체 계면활성제는 주로 탄소화합물을 사용해 미생물과
발효
시키거나 효소와 반응시켜서 얻는다. 사용되는 탄소화합물 미생물 효소에 따라서 많은 종류의 생체 계면활성제가 얻어지지만, 생합성의 경로 계면특성 수율 가격 등의 문제가 남아있다. 실용화되기까지는 ... ...
냉장고는 왜 윙윙거릴까
과학동아
l
199601
기계장치에 대한 기초 설계가 완성됐다. 1890년 경 미국의 거의 모든 양조장은 맥주의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고 완제품을 보존하기 위해 냉장기계를 구입했으며, 1900년 경에는 육류 포장업자들이 육류를 가공·처리 · 운반하는데 기계적 냉장법을 이용했다.GE는 거대한 발전소 ... ...
모기 덜 물리려면 발 씻고 자야
과학동아
l
199512
치즈를 향해 달려 들었다.봐게닌겐의 다른 연구원 만넨은 "림버거의 냄새는 우유가
발효
될 때 박테리아에 의해 생산되는 지방산 때문이다"고 말한다. 이 지방산의 냄새가 인간의 발에서 서식하면서 '발향기'를 내뿜는 것이다.이 연구의 목적은 모기의 물체를 인식경로를 알아 포집하기 위해서였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