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12.05
띤 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
전극
부분에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있도록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이 층은 우리 몸의 소장에서 표면적을 넓혀 소화를 돕는 융모 구조를 본떴다. 실험 결과, 산화아연층이 리튬-황 화합물과도 강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공기의 양을 측정했고 왼쪽 눈썹 위 눈썹주름근(추미근)에는 근전도를 측정하는
전극
을 붙였다. 또 심박수와 호흡수를 측정하는 센서도 달았다. 첫 번째 실험은 냄새 정보를 주지 않은 채 냄새 용액이 담긴 유리병을 코 밑에 제시한다. 이 경우 예상대로 당단풍향과 노루발풀향은 캐나다인들이 더 ... ...
전기신호로 뇌 속 신경세포 자극하는 방법 찾았다
2016.11.23
속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상쇄돼 낮은 주파수로 바뀌었다. 연구진은 이 원리를 이용해
전극
의 위치와 출력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신경세포만 정확히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접한 조엘 보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TCS가 늘 정확하다고 보긴 어렵지만 뇌 ... ...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단어 입력… ‘뇌 임플란트’ 시대 오나
2016.11.18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연구진이 수술 없이 주사를 맞듯 혈관을 통해
전극
을 삽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현재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뇌 임플란트 기술을 포함해 다양한 BCI 기술이 있지만 주로 사지마비 ... ...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2016.11.13
부위를 자극해 간지럼을 유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선 쥐의 대뇌피질에 작은
전극
을 삽입해 간지럼을 느끼는 동안 신경세포의 반응을 측정했다. 쥐가 간지럼을 느낄 때 촉각을 처리하는 뇌 영역인 ‘체지각 대뇌피질(somatosensory cortex)’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이 사실을 ... ...
하반신 마비 치료길 열린다… 뇌-척수 무선 연결 성공
2016.11.10
것으로 놀라운 결과”라고 말했다. 척수신경에 손상을 입은 원숭이의 뇌와 척수에
전극
을 이식하자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회복했다. 재활에 성공한 원숭이의 모습(왼쪽)과 다리 움직임을 분석한 자료(오른쪽). - 로잔연방공대 제공 ... ...
뇌자극 ‘신경
전극
’ 개발… 뇌졸중 치료 가능성 열었다
2016.11.01
15%에 불과했지만, 새롭게 개발한
전극
은 효율이 25%로 높아졌다. 이
전극
을 쥐의 뇌신경조직에 적용한 결과 0.1V(볼트)의 아주 미세한 전기자극에도 뇌신경이 반응했다. 3~5V 정도의 전압에서 가장 활발하게 반응해 안전하게 뇌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정 실장은 “전기화학적 방법을 ... ...
값비싼 OLED 가격 ‘뚝’ 떨어진다
2016.10.31
가격이 비싸고 매장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ITO
전극
을 대체할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10월 5일자에 게재됐다. ... ...
저장 용량 50% 더 늘린 대용량 배터리 나온다
2016.10.24
대부분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효율성도 갖췄다. 정 단장은 “프러시안 블루 기반
전극
소재는 우수한 에너지 저장 용량뿐 아니라 가격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며 “수계 이차전지 외에도 다양한 차세대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소자 분야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환경문제 주범 ‘녹조’로 전기 만든다
2016.09.27
머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9월 14일자에 게재됐다. 류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
전극
에는 기존과 달리 여러 개의 세포를 꽂아 전자를 추출할 수 있다. - 연세대학교 제공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