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전도성·접착력 모두 잡은 신물질로 차세대 해수전지 성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2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3월 31일 국제학술지 '에너지와 환경과학'에 공개됐다. 배터리
전극
은 반응에 관여하는 활물질과 전자 이동을 촉진하는 도전재 등 여러 물질이 석인 복합구조로 이뤄졌다. 바인더는 이들을 단단하게 접착하는 역할을 한다. 물속에서 장시간 작동해야 하는 해수전지에서 수중 ... ...
충전 없이도 장기간 전력 공급…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베타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C-14) 기반
전극
과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흡수층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양자 베타전지를 구현했다. 특히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MACl)와 세슘 클로라이드(CsCl) 등의 첨가제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의 결정 구조를 정밀하게 ... ...
[사이언스영상] 생각만으로 말하게 한다
SEIZE
l
2025.04.24
참가자에게 1024개 단어로 구성된 문장을 보여주고 속으로 그 문장을 따라 말하도록 한 뒤
전극
을 이용해 뇌 신호를 수집했다. 수집된 뇌 신호를 인공지능에 학습시켰다. 어떤 생각이 어떤 신호와 연결되는지 익히도록 인공지능을 훈련한 것이다. 완성된 인공지능은 컴퓨터에 탑재돼 참가자의 ...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복잡한 입력 신호 전처리 과정(마스킹)도 간단히 해결했다. 뉴랜지스터를 이용해 소스
전극
에 가해지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마스킹 기능을 구현했다. 시계열 입력 신호를 다차원의 출력 정보로 정확하게 변환했다. 또한 높은 내구성과 소자 간의 균일성도 확보해 실용성도 역시 뛰어났다.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UNIST, 성능 높이는 '원통형 배터리 설계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전략을 제시했다. 음극과 양극 간의 접촉 면적 비율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용량비 변화를
전극
의 두께 조정을 통해 보정하는 원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20일 온라인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문제일 뇌과학과 교수가 국제기구 ... ...
[과기원NOW] DGIST, 신경 손상 걱정 없는 '스마트 밀착
전극
'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있는
전극
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커프
전극
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극
이 스스로 구부러져 신경을 감쌀 수 있는 '소프트 구동 기반 커프
전극
(soft-actuated cuff electrode)'을 고안했다. 소프트 구동 기술을 활용해 평평한 2D(2차원) 형태에서 3D(3차원) 구조로 변할 수 있는 것이 ... ...
[의학바이오게시판] 뉴아인, 소아청소년 ADHD제품 '위드녹스' 크라우드 펀딩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뉴아인의 ADHD 웰니스 기기 '위드녹스' 홍보 이미지. 뉴아인 제공 ■ 뉴아인은 소아청소년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를 위한 웰니스 기기 '위드녹스'를 크라우드 펀딩 ... 진행되며 다양한 얼리버드 옵션을 제공한다. 100개 한정 스페셜 얼리버드 구매 시 6개월치
전극
이 추가로 증정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변화를 분석한 같은 연구팀의 논문이 실렸다. 연구자들은 원숭이 뇌의 운동피질에
전극
이 있는 칩을 꽂은 뒤 과제를 수행할 때 뉴런의 활성을 측정했다. 표적은 손이 놓인 커서에서 임의의 거리와 방향에서 나타나므로 그때마다 뉴런 활성 패턴이 달라진다. 이런 경향은 보상이 커질수록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간편하지만 그만큼 정확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과제다. 두개골을 열어 뇌에 직접
전극
을 연결하는 ‘침습적 방식’은 정확도가 높지만 위험하다. 최소한의 부위만 수술하면서도, 뇌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BCI 장비 개발이 필요하다. 다른 문제는 가격이다. 현재 여러 연구팀에서 쓰는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말했다. 이런 뇌손상은 2차 문제를 일으킨다. 손상된 부위로 면역세포가 몰려들면서,
전극
이 뇌파를 보내는 뉴런에서 멀어져 신호의 질이 떨어진다. 강도가 강한 칩이 뇌손상을 일으키고, 그 결과 칩에 전달되는 뇌파 신호까지 약해지면서 굳이 침습적 방식을 사용해 BCI 장비를 이식한 의미가 ...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동물행동학과 릴리 매가리 박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반려견의 머리에
전극
을 붙여 사람 말을 들었을 때 변하는 뇌파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연구팀은 강아지가 기억하는 지시어인 ‘sit(앉아)’과 ‘sut’처럼 sit과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 없는 말을 동시에 들려주었어요. 또한 ‘bep’처럼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바이오닉 핸드는 치아 임플란트 수술에 주로 사용되는 골 유착 기술과 팔 근육, 신경에
전극
을 이식해 뇌에서 나오는 신경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 의수에 전달하는 기술이 적용돼 손가락도 생각대로 움직일 수 있었어요. 의수를 개발한 스웨덴 샬메르스 공학대학교 막스 오르티스카탈란 박사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수퍼소닉 파워의 비밀, 수학으로 파헤친다!
기사
l
20230127
우리 눈에 보이는 번개는 '방전 현상'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방전 현상이란, 기체와 같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를 사이에 낀 두
전극
사이에 강한 전압을 걸어주면, 그 물체가 절연체이더라도 전압이 너무 강해 전기가 통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방전현상에서 실제로 움직이는 것은 전류를 만들어내는 전자입니다. 번개의 경우에는 구름의 전자가 땅으 ...
UFO, 과연 가능할까?
기사
l
20220210
블로그) 그리고 미국 교수 수부라타 로이 교수는 UFO가 플라스마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왜냐하면 UFO 표면에
전극
이 내장되어 있어 전류가 흐르면 주변 공기를 플라스마로 만들 수 있는데, 그로 인해 UFO가 추진력을 얻어 빠르게 갈 수 있다는 이유로 주장했습니다. (출처: daum 블로그) 이로 인해 UFO는 실제로 있기가 ...
전기분해장치로 수소와 산소를 만들어보자!
기사
l
20210503
수용액을 눈금 8까지 넣는다 5.모은 기체가 빠져나가는걸 방지하기 위해 밸브를 잠근 뒤에 전원을 켠다. 6.전원을 켠 후 탄소
전극
을 보면 기체 수소(왼쪽)산소(오른쪽)이 2:1로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 결과:수소와 산소가 모두 모인 것을 볼 수 있다. 추가로 깔대기를 보면 수소와 산소에 눌려 물의 수위가 더 높아져 있는것을 볼 수 있 ...
[실험 실패 전격 분석] '테이프 지문은 휴대폰 지문에 인식이 될까?'
기사
l
20201008
'사진'을 잘 구별하지 못하므로 속이기가 쉽다고 한다. 2. 정전용량식 지문인식 정전 용량식 지문인식은 평면에
전극
을 심어 두고
전극
별로 지문의 굴곡을 인식하여 대조하는 그러한 센서입니다.(이해 되시는 분들은 끝에있는 설명을 참고해 주세요. 필자도 이 내용만 5번 보았습니다.) 지문 인식 속도가 느입니다. 또 지문과의 거리가 ...
오타
포스팅
l
20190306
그!러!나! 조금 더 확대해보겠습니다. 이렇게 봐도 눈치 빠르신분들밖에 못보셨을까봐 한번 더 확대! 보이시죠!!!!!!!!!!!!!! '미세전지'
전극
도 아니고 미세한 전지라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타 일부러 하신건가요? 우리 학교 쌤 중 한 분? 이런 오타 본적 있는분 손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