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주고 환자의 반응을 살핀 결과를 뇌지도로 그렸어요. 펜필드는 뇌의 바깥 부분만을
전극
으로 자극했기 때문에 정확도가 많이 떨어져요. 하지만 뇌의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각각 다르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답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4월 15일자 ... ...
늘어났다 줄어들며 전기 만드는 ‘스타킹 전자소재’
2015.04.15
뛰어난
전극
을 덧붙여 자가발전소재를 완성했다. 소재를 늘릴 때 생산된 전기를
전극
에 저장해 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고탄성 나노자가발전기는 최대 3배까지 늘어나면서 4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는 지름 5mm가량의 발광다이오드(LED) 하나를 작동시킬 수 ... ...
친환경 미래車 에너지효율 올릴 원천기술 찾았다
2015.04.13
연구팀은 GDC에 여러 물질을 섞어가며 실험한 결과 코발트를 이온 광물과 합성했을 때
전극
의 불순물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코발트 이온이 경계면에 쌓인 가돌리늄과 반응해 균열을 채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브린크맨 카일 클렘슨대 재료공학과 교수는 “수소연료전지는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부풀어 올라 네트워크가 느슨해지면서 물렁물렁해진다. 따라서 이 재료로 만든 미세
전극
을 건조한 즉 딱딱한 상태에서 뇌조직에 박으면 체액이 스며들며 물성이 바뀌어 유연해지면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지난해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이 성공했고 조만간 영장류 실험을 진행한 뒤 사람을 ... ...
“2020년까지 그래핀 핵심기술 85개 확보”
2015.04.07
합성 기술 확보 방안이 담겼다. CVD 그래핀은 투명
전극
, 유연한 디스플레이, 에너지용
전극
소재 등에 쓰인다. 또 크기와 두께에 따라 특성이 바뀌는 그래핀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해 측정 기술과 신뢰성 평가 기술 개발 등도 추진된다. 정부는 기술 수준과 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6대 응용제품을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2차원 나노시트의 전하 저장 과정을 규명해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이와 관련된 특허를 출원했으며, 이 연구 성과는 나노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 3월 3일자에 실렸다. ... ...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센서는 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을 인식해서 남쪽이면 왼쪽
전극
이, 북쪽이면 오른쪽
전극
이 실시간으로 뇌의 시각피질에 전기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 작동한다. - 이케아야 유지 교수 제공 ... ...
버려지는 실리콘이
전극
소재로 환골탈태!
2015.03.30
실리콘-그래핀 복합체는 현재 리튬전지
전극
소재로 쓰이는 흑연을 이을 차세대
전극
소재로 각광받는 물질이다. 장희동 박사는 “실리콘 폐기물을 재활용해 자원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폐기물에서 실리콘을 추출하는 방법.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꿈의 신소재’라고도 불린다. 세계 각국 연구진은 그래핀을 이용해 휘어지는 투명
전극
을 비롯해 다양한 재료를 개발 중이다. 김관표 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그래핀과 금 입자를 산성용액 안에 넣으면 그래핀의 원자구조 형태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시안화금 나노와이어가 생성된다는 ... ...
피부 욕창 찾아주는 ‘스마트밴드’ 나왔다
2015.03.19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얇은 투명 필름 위에
전극
과 회로기판을 직접 인쇄해 피부의 전기저항을 알 수 있는 반창고 형태의 측정장치를 만들었다. 사람의 피부는 미세한 전류가 잘 흐르지 않지만, 세포막이 파괴되면 체액이 흘러나와 전류가 더 잘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