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
과학동아
l
2016.09.03
그래핀이다. 그래핀을 방열소재로 이용하려면 그래핀 자체의 포논뿐만 아니라 그래핀과
전극
접합소재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포논도 잘 알아야 한다. 이런 연구를 응용하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필자는 앞서 소개한 파이얼스 왜곡 원리를 이용해 고체 안의 전자와 포논을 ... ...
“어른이 된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07
양자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이온 트랩’의 모습이 담겼다. 4개의
전극
으로 구성된 이 장비는 레이저로 이온 입자들을 광학적으로 제어한다. 샨타누 뎁나드 미국 매릴랜드대 교수팀은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한 5큐비트짜리 초소형 양자 컴퓨터를 개발해 '네이처' 4일 자에 발표했다. ... ...
폭염 막아주는 반투명 태양전지 나왔다
2016.08.01
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얇은 박막을 제작한 뒤 이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투명한 금속
전극
을 제작했다. KAIST 제공 이 태양전지의 에너지효율은 13.3%. 일반적인 고효율 태양전지와 비슷했다. 100의 태양 빛을 받았을 때 13.3만큼의 에너지를 생산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가시광선 투과율은 차량 ... ...
리우 올림픽 메달 색깔 바꾸는 비장의 무기는 ‘과학’
2016.07.29
알아내기 위해서는 뇌파의 변화를 읽어내는 ‘뉴로피드백’ 시스템을 동원한다. 두피에
전극
을 붙인 선수들이 자신의 경기 영상을 보면서 몰입하면 뉴로피드백 시스템이 선수의 심리 상태를 분석해 화면에 표시해 준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언제 안정적인 뇌파가 나오고, 언제 불안정한 뇌파가 ... ...
애플보다 한수 위 ‘3D 터치’ 기술 국내서 개발
2016.07.22
0.2mm 이하로 얇게 만들어 투명
전극
판 2장 사이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센서를 만들었다.
전극
판을 누르면 안에 들어있는 필름의 두께가 달라지면서 힘의 세기를 인식한다. 센서는 가시광선 투과도가 87%에 이를 정도로 높고 두께가 0.5mm로 얇아 현재 시판 중인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바로 적용할 수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전극
이 붙어있는 1차원 반도체 전자현미경 사진(왼쪽)과 끝부분을 확대한 사진 - 고려대학교 제공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미세전류와 빛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극미세 반도체가 개발됐다. 향후 인공망막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이번 연구성과는 그래핀을 접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으로 기존에 없었던 고효율
전극
이나 트렌지스터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크로스 교수팀은 마치 흑연에서 그래핀을 분리하듯 손쉬운 방법으로 그래핀을 접는 데 성공했다. 다이아몬드 바늘을 이용해 그래핀 위에 작은 구멍을 뚫어 ... ...
수명 다한 태양전지,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한다
2016.06.14
흡수층의 납 성분이 99.99% 이상 제거되면서 투명한 기판을 다시 얻을 수 있었다. 또
전극
에 사용했던 금도 용매 속에 가라앉아 수거가 가능했다.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김병조 성균관대 신소재공학과 연구원은 “용액 처리 후 수초 이내에 투명한 기판이 드러났다”며 “극성 비양자성 용매가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
전극
개발
2016.06.13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 실렸다. 투명
전극
은 이름처럼 '투명'하기 때문에 빛을 투과시킨다(왼쪽). 이 투명
전극
을 이용해 불을 밝힌 모습. - 고려대 기계공학부 ... ...
효율-수명, 두마리 토끼 한번에 잡은 태양전지 나왔다
2016.06.13
TAZ)’를 집어넣었다. 산화아연으로 이뤄진 이 박막은 전자와 정공이 분리됐을 때 전자를
전극
으로 빠르게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박막을 넣자 전자이동도가 약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박막 덕분에 전지에서 태양 빛을 받는 부분에 수분과 산소의 유입이 차단돼 소자의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