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배 더 빠른 USB메모리 개발 가능해졌다
2015.06.21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이같은 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
전극
층-발광층-메모리층-
전극
층’을 쌓은 메모리 구조를 만들어 메모리 소자에 3비트를 저장했다. 그 결과 기존 대비 용량을 1.5배 늘리고, 신호 감도를 늘려 빠른 처리속도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낸드 플래시 시장은 연 27조 원 ... ...
‘힘세고 오래 가는’ 리튬이온전지 나온다
2015.05.28
리튬산화물 분해를 돕는 장점이 있어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 흑연
전극
과 비교해 3배 이상 충전용량이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 음극을 이 소재로 바꾸면 충전용량이 30~40%가량 늘어나고, 전해질과 양극 소재까지 개선할 경우 최대 3배까지 ... ...
수소자동차 안전성·내구성 4배 이상 높였다
2015.05.27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멤브레인과
전극
계면이 레고 블록처럼 서로 맞물려진 맞춤형 구조를 새롭게 개발했다. 이 구조를 저가의 탄화수소계 연료전지에 적용하자 계면 결착력이 8배 이상 증가했다. 연료전지의 내구성도 4배 이상 향상됐다. 김희탁 ... ...
성게 모양 그래핀으로 ‘슈퍼 전지’ 만든다
2015.05.18
그래핀을 슈퍼 커패시터의 재료로 꼽고 있다. 하지만 전기를 흘려보내는 통로인
전극
에 적용할 때 그래핀끼리 서로 달라붙어 표면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전자의 매개체인 이온이 달라붙을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어 효율이 떨어졌다. 서로 달라붙지 않게 3차원으로 만들 경우 빈 ... ...
뇌 기능 모방해 생각 읽어내는 하드웨어
2015.05.12
말했다. 피실험자 뇌파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피실험자의 머리에
전극
을 부착하고 ‘아’ ‘이’ ‘우’ 3개 발음을 상상하게 하면(a) 각 발음마다 뇌파 특징이 나타난다(b). 이를 숫자 0과 1로 구성된 2진 코드(c)로 전환해 하드웨어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활용했다. - ... ...
양자택일의 상황, 내가 골랐나 무의식이 골랐나
2015.05.06
원숭이의 뇌에서 근육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운동피질과 전운동피질에 모두 192개의
전극
을 부착해 뇌활동이 실제로 운동으로 이어지는지 조사했다. 실험을 여러차례 반복한 결과 대부분의 선택에서 원숭이는 자유의지에 따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먹이를 선택하려는 뇌 신호가 활성화된 ... ...
대면적 유기반도체 제작 길 열렸다
2015.05.06
만들어도 불량품이 많아지는 것이다. 유기반도체 소자 사이는 독립적으로 유지하면서
전극
(동그라미 안쪽 긴 막대와 짧은 막대) 사이 채널에는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는 기술 모식도. - 서울대 제공 연구진은 특수 표면 처리를 통해 반도체 소자 사이를 단절시켜 불량품은 줄이면서도 소자 내부는 ... ...
버튼만 누르면 투명 유리창이 TV로 변신
2015.04.29
흐르지 않을 때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던
전극
(왼쪽)은 전기가 흐르면 불투명하게 바뀐다(오른쪽). - 윤태훈 교수 제공 아침 햇살이 쏟아져 들어오는 거실 유리창을 버튼 하나만 누르면 순식간에 TV 모니터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윤태훈 부산대 전자공학과 ... ...
휘어지는 투명 스마트폰, 도장 찍듯 ‘꾹’ 찍어 만든다
2015.04.22
기술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안테나를 내장형이나 외장형으로 만들 필요 없이 표면에
전극
을 찍어내는 등의 방법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서 “자동차 등 여러 제품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재료공학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8일자 ... ...
피부에 붙여 실시간 진단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
2015.04.22
그래핀으로는 센서를 만들고 저항이 작은 은나노와이어로는 전류를 흘려주는 부위인
전극
을 만들어 결합시킨 것이다. 이 센서는 투명한데다 반으로 접거나 최대 2배까지 잡아당겨도 성능이 변하지 않는다. 특히 외부 안테나에서 쏜 전파를 이용해 작동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필요 없다.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