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혈류를 관찰할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소프트 윈도를 이용해 약물을 직접 주입하거나
전극
을 원하는 위치에 꽂아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PDMS는 2, 3시간 내 간단하게 실험실에서 만들 수 있어 향후 안정적인 상태의 뇌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 ...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5.27
신경 다발의 질긴 표피를 뚫을 수 있을 만큼 단단하면서도 인체 친화적인 재료로
전극
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휴 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교수는 전류를 흘리면 딱딱해지고 전류를 끊으면 종이처럼 유연해지는 인공 피부를 이용해 환자 맞춤형 의족을 개발했다. ‘21세기형 ... ...
드론, 날다 지치면 잠시 쉬어가렴~
2016.05.20
발생시키는 2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구리
전극
을 달아 천장에 달라붙게 했다.
전극
의 무게는 13.4mg에 불과해 로보비 전체의 무게가 100mg을 넘지 않아 실제 벌과 비슷하다. 우드 교수는 “비행 상태를 유지할 때보다 에너지 사용량을 1000배 정도 줄일 수 있다”며 “현재는 천장이나 돌출된 ... ...
정전기에 드론까지…미세먼지 잡는 기술 어디까지 개발됐나
2016.04.29
지난해 ‘스모그 프리 타워’를 공개했다. 먼지 입자에 전기적 성질을 띤 이온을 붙인 뒤
전극
을 이용해 미세먼지를 끌어당기도록 했다. 탑 높이는 약 7m로 시간당 3만 ㎥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나노 섬유 이용한 황사마스크 개발 서해를 건너오는 중국발(發) 미세먼지는 바다를 건너오기 전에 ... ...
‘연구하는 총장’ 한양대 이영무 교수 ‘네이처’에 논문 게재
2016.04.28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분리막을 가운데 두고 두
전극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문제는 기존에 쓰이던 불소계 분리막이 80~90도의 온도와 습한 환경에서 반응한다는 점이다. 자동차의 엔진룸은 온도가 120도에 이르기 때문에 ... ...
차세대 스마트폰용 ‘휘어지는 화면’ 만들었다
2016.04.27
최홍규, 최진식, 최춘기 연구원(왼쪽부터 순서대로)이 측정 장비를 이용해 그래핀 투명
전극
필름의 특성을 확인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종이처럼 둘둘 말리는 TV나 모니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차세대 스마트폰 화면이나 태양전지 등에 쓸 수 있을 ... ...
물에서 수소에너지 값싸게 얻는 태양광 기술 개발
2016.04.19
기기에 비해 50시간 이상 구동해도 특성에 변화가 없었다. 장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전극
을 활용하면 더 적은 전력으로 더 많은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며 “값비싼 귀금속 촉매를 대체할 수 있어 향후 태양광을 이용한 고효율 수소 에너지 발생 장치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투명 랩만큼 얇다, 손등에 딱 붙는 초박막 전자피부 개발
2016.04.18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연구진은 여기에 투명한 인듐주석산화물(ITO)
전극
을 붙여 초박막 전자피부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를 활용해 연구진은 혈중 산소량을 감지해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주는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이 전자피부는 열 발생량과 전력 소비량이 기존의 6분의 1로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
2016.04.15
움직일 때 발생하는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그리고 눈 주변
전극
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서 사용하는 손 글씨 인식 소프트웨어를 연결해 눈으로 그린 궤적을 글씨로 바꿨다. 칸을 띄우거나 줄을 바꾸고 글자를 지우는 기능 등은 각각 눈동자로 특정 패턴을 그리면 작동하도록 ... ...
사지 마비환자, 3년 반 만에 손으로 기타 치고 컵에 물 부어
2016.04.14
감지한다. 뉴럴 바이패스는 그 신호를 ‘컵을 쥐고자 한다’는 것으로 해석해 손목의
전극
패치로 전달한다. 그럼 환자는 스스로 팔 근육을 조정해 컵을 쥘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이 환자는 손가락 5개를 각각 따로 움직였고, 6가지 손동작을 소화하는 데 성공했다. 전자기타를 연주하고 물병에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