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리우 올림픽 메달 색깔 바꾸는 비장의 무기는 ‘과학’
2016.07.29
알아내기 위해서는 뇌파의 변화를 읽어내는 ‘뉴로피드백’ 시스템을 동원한다. 두피에
전극
을 붙인 선수들이 자신의 경기 영상을 보면서 몰입하면 뉴로피드백 시스템이 선수의 심리 상태를 분석해 화면에 표시해 준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언제 안정적인 뇌파가 나오고, 언제 불안정한 뇌파가 ... ...
애플보다 한수 위 ‘3D 터치’ 기술 국내서 개발
2016.07.22
0.2mm 이하로 얇게 만들어 투명
전극
판 2장 사이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센서를 만들었다.
전극
판을 누르면 안에 들어있는 필름의 두께가 달라지면서 힘의 세기를 인식한다. 센서는 가시광선 투과도가 87%에 이를 정도로 높고 두께가 0.5mm로 얇아 현재 시판 중인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바로 적용할 수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전극
이 붙어있는 1차원 반도체 전자현미경 사진(왼쪽)과 끝부분을 확대한 사진 - 고려대학교 제공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미세전류와 빛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극미세 반도체가 개발됐다. 향후 인공망막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이번 연구성과는 그래핀을 접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으로 기존에 없었던 고효율
전극
이나 트렌지스터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크로스 교수팀은 마치 흑연에서 그래핀을 분리하듯 손쉬운 방법으로 그래핀을 접는 데 성공했다. 다이아몬드 바늘을 이용해 그래핀 위에 작은 구멍을 뚫어 ... ...
수명 다한 태양전지,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한다
2016.06.14
흡수층의 납 성분이 99.99% 이상 제거되면서 투명한 기판을 다시 얻을 수 있었다. 또
전극
에 사용했던 금도 용매 속에 가라앉아 수거가 가능했다.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김병조 성균관대 신소재공학과 연구원은 “용액 처리 후 수초 이내에 투명한 기판이 드러났다”며 “극성 비양자성 용매가 ... ...
효율-수명, 두마리 토끼 한번에 잡은 태양전지 나왔다
2016.06.13
TAZ)’를 집어넣었다. 산화아연으로 이뤄진 이 박막은 전자와 정공이 분리됐을 때 전자를
전극
으로 빠르게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박막을 넣자 전자이동도가 약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박막 덕분에 전지에서 태양 빛을 받는 부분에 수분과 산소의 유입이 차단돼 소자의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
전극
개발
2016.06.13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 실렸다. 투명
전극
은 이름처럼 '투명'하기 때문에 빛을 투과시킨다(왼쪽). 이 투명
전극
을 이용해 불을 밝힌 모습. - 고려대 기계공학부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혈류를 관찰할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소프트 윈도를 이용해 약물을 직접 주입하거나
전극
을 원하는 위치에 꽂아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PDMS는 2, 3시간 내 간단하게 실험실에서 만들 수 있어 향후 안정적인 상태의 뇌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 ...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5.27
신경 다발의 질긴 표피를 뚫을 수 있을 만큼 단단하면서도 인체 친화적인 재료로
전극
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휴 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교수는 전류를 흘리면 딱딱해지고 전류를 끊으면 종이처럼 유연해지는 인공 피부를 이용해 환자 맞춤형 의족을 개발했다. ‘21세기형 ... ...
드론, 날다 지치면 잠시 쉬어가렴~
2016.05.20
발생시키는 2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구리
전극
을 달아 천장에 달라붙게 했다.
전극
의 무게는 13.4mg에 불과해 로보비 전체의 무게가 100mg을 넘지 않아 실제 벌과 비슷하다. 우드 교수는 “비행 상태를 유지할 때보다 에너지 사용량을 1000배 정도 줄일 수 있다”며 “현재는 천장이나 돌출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