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각기동대’ 사이보그 여전사, 현실에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의대 연구진은 9년 동안 사지를 움직일 수 없었던 환자의 두개골을 열고 두뇌에 직접
전극
을 시술했다. 환자는 이 시술 후 침대머리에 설치된 로봇 팔을 생각만으로 움직여 초콜릿이나 커피 등 음식을 스스로 집어 먹었다. 국내에선 신형철 한림대 교수 팀이 이 방법으로 2009년 ‘말하는 강아지’ ... ...
용감하고 씩씩한 우리의 친구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15
무리를 물리치지요. 이렇게 생각만으로 태권브이를 움직이려면 조종하는 사람의 뇌에
전극
을 심고, 활동할 때 발생하는 뇌파를 분석해 로봇을 움직일 슈퍼컴퓨터가 필요해요. 사이언스 랩에 슈퍼컴퓨터는 없지만, 훈이처럼 태권브이를 조종하는 체험은 가능해요. 동작 인식 컴퓨터가 있어 기자단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상용화를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이 교수는 “전기가 잘 통하는 고성능 유연 투명
전극
을 개발한 것으로 향후 유연 전자소재 개발 빛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 2일자에 실렸다. ... ...
두개골 열지 않고도 뇌 치료 효과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1
5배 높아졌고, 뉴런의 활성화 정도는 11배 커졌다. 티타늄 채널이
전극
과 뇌 사이를 이어
전극
에서 가해지는 전류가 손실 없이 뇌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전 교수는 “준침습적 치료법의 효용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했다”라며 “향후 이 치료법이 실제 임상에 적용돼 더 나은 뇌 자극 치료 ... ...
흔한 금속으로 리튬이차전지
전극
싸게 만드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4
수많은 전이금속 화합물을 양극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셈”이라며, “차세대 이차전지
전극
소재 개발의 가능성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게재됐다.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300㎞ 달리게 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0
리튬 이온의 이동을 돕는 전해질로 이뤄져 있다. 현재 상용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전극
재료로는 흑연(음극)과 리튬금속산화물(양극)이 사용되고 있다. 양극에서 용해된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며 전류가 흐르는 것이다. 하지만 흑연과 리튬금속산화물 모두 에너지 저장 용량이 상대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전기전도도가 커져 리튬이온이 빨리 자리를 뜨거나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전극
의 강도도 커져 충전, 방전 사이클을 반복할 때 생기는 스트레스(열, 변형 등)에 더 잘 견딜 수 있다. 즉 배터리 수명이 늘어난다. 따라서 고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용 배터리에는 이미 CNT가 첨가물로 쓰이고 ... ...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12.05
띤 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
전극
부분에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있도록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이 층은 우리 몸의 소장에서 표면적을 넓혀 소화를 돕는 융모 구조를 본떴다. 실험 결과, 산화아연층이 리튬-황 화합물과도 강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공기의 양을 측정했고 왼쪽 눈썹 위 눈썹주름근(추미근)에는 근전도를 측정하는
전극
을 붙였다. 또 심박수와 호흡수를 측정하는 센서도 달았다. 첫 번째 실험은 냄새 정보를 주지 않은 채 냄새 용액이 담긴 유리병을 코 밑에 제시한다. 이 경우 예상대로 당단풍향과 노루발풀향은 캐나다인들이 더 ... ...
전기신호로 뇌 속 신경세포 자극하는 방법 찾았다
2016.11.23
속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상쇄돼 낮은 주파수로 바뀌었다. 연구진은 이 원리를 이용해
전극
의 위치와 출력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신경세포만 정확히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접한 조엘 보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TCS가 늘 정확하다고 보긴 어렵지만 뇌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