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 한지로 ‘종이
전극
’ 개발
과학동아
l
2017.10.31
리간드 층상자기조립법’으로 불린다. 조 교수는 “나노입자를 직물 소재에 직접 코팅해
전극
을 제작한 최초의 사례”라며 “웨어러블 전자 소자 시장에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467-017-00550- ... ...
용량 8배 큰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10.24
고체-전해질 중간물질(ASEI)’은 수~수십㎚(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의 얇은 막이다.
전극
표면에 코팅하면 생성물인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에 녹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연구진은 리튬이온전지의 고질적 문제인 폭발 위험도 ASEI를 통해 해결했다. 리튬이온의 표면 역시 ASEI로 코팅해, ... ...
물로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
과학동아
l
2017.10.01
뒤 액체 전해질과 고체
전극
사이에 안정적인 막을 형성한다. 그 결과, 액체 전해질이
전극
을 분해하지 않아 배터리가 4볼트 전압을 유지했다. 연구팀은 배터리 케이스에 구멍이 뚫려 코팅이 손상되더라도 금속과 액체 전해질이 천천히 반응해 불이 붙거나 폭발할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쑤 ... ...
물 위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 받아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덧붙이면 다목적으로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넓은 태양전지에 물 분해 촉매
전극
을 결합해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개발했다. 백금과 니켈-철 촉매를 이용해 태양빛으로 받은 에너지의 약 3%를 수소로 바꿀 수 있다. 태양전지를 고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전지로 교체하자 10% 이상의 변환 ... ...
외국어 마스터의 비결, 새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9
쉴새 없이 뇌 활성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었다.) 실험 중인 십자매. 머리에
전극
을 꽂은 채 잘 날아다녔다. - 윤신영 제공 Q. 사람의 언어와 비교하려는 시도도 흥미롭다. 이건 개인적인 계기도 있다. 미국에서 일하면서 영어 때문에 고생을 했다. 성인이 된 이후 영어를 배우면, 아무리 해도 ... ...
한 번 뜨면 2주 이상 비행하는 성층권 드론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재료공학부 교수팀이 해법을 제시했다. 탄소 대신 티타늄(Ti) 산화물을 리튬공기전지의
전극
물질로 사용한 결과 수백 회 충전을 거듭해도 수명이 유지됐다. 현재 대세인 리튬이온전지는 니켈, 납 등을 사용한 구식 전지에 비해 가볍고 성능이 높아 크게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 쏟아져 나오는 각종 ... ...
푹 자야 운동도 잘 한다?
과학동아
l
2017.09.02
동안 뇌파를 측정해 이와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운동에 관여하는 뇌 부위에
전극
을 꽂아, 뇌파 측정 장치를 달아 쥐가 움직일 때마다 뇌파를 기록한 뒤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MI)를 이용했다. BMI란 뇌파를 이용해 로봇 팔과 같은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 ...
탄소 대신 티타늄...리튬 공기 전지 수명 확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9
산화물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라며 “티타늄 외 다른 금속도 리튬 공기 전지
전극
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리튬 공기 전지는 리튬이 산소와 잘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해 만든 전지다. 현재 많이 쓰이는 리튬 이온 전지보다 용량이 5~10배 크고, 공기 중 산소를 ... ...
다이아몬드 넣어 폭발 걱정 없앤 스마트폰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다이아몬드로 얇게 코팅된다. 다이아몬드는 구조가 규칙적이기 때문에 코팅된
전극
표면은 균일해진다. 연구진은 이런 표면이 불순물 형성을 줄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배터리를 100번 충·방전하는 실험에서 불순물 형성이 현저히 감소했다. 고고치 연구원은 “불순물 형성을 100% 방지하는 ... ...
50초 만에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7.08.09
저장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많을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새로운
전극
은 활성부위의 양을 늘리면서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구멍(공극)을 크게 만들어 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었다. 드렉셀대 드렉셀 나노재료연구소 마리아 루카츠카야 박사는 “여러 차선을 가진 고속도로와 같아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