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2차전지 이론 용량 92%까지 따라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줄었다. KAIST 제공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비슷한 면적당 용량 밀도를 갖는 고용량 황
전극
을 만들었더니 이론용량의 92%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이 염을 사용할 경우 음극에 안정한 표면 피막을 형성하는 효과도 있어 100회 이상 구동에도 전지의 성능은 떨어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리튬-황 전지의 ... ...
전복 껍데기 구조 모방해 인공광합성 효율 2.5배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전극
에서 생성된 전하를 촉매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데도 도움이 됐다. 이렇게 만든
전극
의 인공광합성 효율은 기존 대비 2.5배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높은 효율의 인공광합성 소자를 자연모방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설계, 개발한 것”이라며 ”향후 저탄소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유연성이 낮고 불투명했다. 연구진은 투명하고 유연한 은나노와이어와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
으로 활용했다. 고분자 전해질을 도입해 전자가 더 잘 이동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소자 성능을 높였다. 이렇게 개발한 PeLED는 기존 대비 투명도가 50% 수준으로 높아졌다. 2.5㎜ 굽힌 곡률에서도 발광 ... ...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01.08
조명을 두고 한 쪽에 빛을 비추면, 빛을 감지한 식물의 전기신호가 줄기와 잎에 있는
전극
을 따라 증폭되면서 식물 아래의 바퀴로 전송된다. 그러면 바퀴가 빛이 있는 쪽, 즉 생존에 더 적합한 장소로 식물을 이동시킨다. 식물이 바퀴를 조종하는 셈이다. 사린 연구원은 “식물은 몸 전체에 생체 ... ...
[2019 CES]"물 낭비 조심" 문자 보내는 똑똑한 밸브…주목되는 기후변화 혁신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이용해 ‘모델3’라는 온수기를 만들었다. 흑연
전극
은 흑연 마대기나 흑연 알로 된
전극
으로 높은 열과 강한 불빛을 낸다. 해당 온수기는 99%의 열효율을 보였다. 이스라엘 스타트업 나노스켄트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감지하는 탐지기를 만들었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발암과 지구온난화의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이식장치를 개발했다고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학공학’에 발표했다.
전극
128개로 구성된 손바닥에 올릴 수 있는 조그만 크기의 무선 칩이 뇌의 전기신호를 읽고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즉시 신호를 보내 신경세포를 자극한다. 연구진은 원숭이에게 이 칩을 이식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 ...
홍합에서 얻은 접착물질로 연료전지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물로 빠져나가고 전자는 회로로 흘러들어 전류를 발생시킨다. 전해질막은 내부의 두
전극
을 분리하면서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해질막의 내구성과 수소이온 전도도는 연료전지의 수명과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중합체에 수소이온만을 ... ...
“VR 아바타가 내 표정이랑 똑같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들어가 이물감이 없었다. 실험이라 HMD를 빼고 눈썹 위와 눈 아래에 어른 새끼손톱만 한
전극
8개를 붙이자 준비가 끝났다. 처음 사용할 때는 11개 표정을 한 번씩 지으며 ‘등록’하는 절차가 있다. 개인마다 표정과 근전도 패턴이 달라 꼭 필요한 절차다. 기존 다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4~14번 ... ...
'여우각시별' 드라마 속 웨어러블 로봇팔 현실로 성큼
과학동아
l
2018.12.01
피츠버그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온 몸이 마비된 남성 환자의 뇌 감각 피질에 마이크로
전극
을 이식한 뒤, 이를 로봇 팔과 연결해 로봇 팔의 손가락을 만졌을 때 그 감각을 느끼게 하는 데 성공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f8083 황 교수는 “예를 들면 검지손가락을 만졌을 때는 뇌의 감각피질에 ... ...
소방관들이 배터리 과충전 '화재 패턴' 밝혔다
연합뉴스
l
2018.11.28
누출된 가스에 불이 붙으면서, 폭죽이 아닌 마치 버너의 연소 형태처럼 타올랐다. 내부
전극
은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고, 용융은 보이지 않았다. 정찬두 소방위 연구팀은 이에 대해 "과충전의 경우 배터리 내부 혼합가스에 먼저 불이 붙고 폭발이 발생한다면, 외부 화염 상황에선 배터리 압력상승에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