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융합포럼]“2100년 인간은 전자두뇌를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컴퓨터로 옮기는 방법도 기술도 개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뇌 속에 심어 넣는
전극
인 ‘브레인 임플란트’ 기술도 발전하고 있어 해마가 망가진 생쥐의 뇌에 전자칩을 심어 기능을 살려내는 실험도 진행됐다”며 “이런 기술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 등의 기억보존에 도움이 될 것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11.14
투명
전극
으로 덮는다. 발전 | 결정이 빛을 받으면서 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가
전극
으로 이동하면서 에너지 준위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전류가 흐른다. 특징 | 무기물과 유기물이 섞인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다. 최근 몇 년 새 전기 변환 효율이 가파르게 상승해 일부 연구자들은 노벨상 수상 ... ...
수소 연료 앞당길 효율 높은 나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세계 많은 연구팀이 효율적인 촉매 기술을 연구중이다. 특히 물 전기분해할 경우 필수인
전극
촉매는 대부분 희귀한 금속을 사용해 가격이 높고, 내구성은 낮아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게 큰 단점이었디. 연구팀은 백금-니켈-루테늄을 합성한 물질을 새롭게 개발했다. 이는 기존에 사용되던 이리듐 ... ...
전기車 전원 ‘슈퍼 커패시터’ 1000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일 밝혔다. 연구진은 2013년 고고치 교수팀이 개발했던 ‘멕센(MXene)’이란 이름의 2차원
전극
물질을 실제로 실용화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이 물질은 개발 초기 고성능 슈퍼 커패시터 개발을 이끌 신물질로 주목받아 왔다. 연구진은 멕센을 이용해 60∼1만㎐(헤르츠)정도의 주파수를 갖는 ... ...
스마트폰 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11.10
0.2V 정도 높아져 에너지 밀도는 2배 이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
전극
구성과 적층 등 공정 기술도 발달해 배터리 용량은 2배 이상 늘어났고 크기는 더 작아졌다”고 덧붙였다. 베젤 줄이고, 지문센서 없애고 소비자들이 모두 대화면 스마트폰을 환영하는 것은 아니다. 대화면 ... ...
적층식 전자회로, 출고전 오류 100%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표준연) 캠퍼스에서 측정과학을 전공하던 안흘비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관통
전극
(TSV)을 이용한 삼차원 형상 측정방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UST학생은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캠퍼스로 삼아 연구현장에서 공부하며 학위를 받는다. 안 학생은 표준연 기반표준본부 진종한 책임연구원이 ... ...
몸속에서 전기 생산하는 섬유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26일 자에 게재됐다. 면 섬유
전극
의 제작 방법 및 생체연료전지 구성 모식도. 고려대 제공. ... ...
앉아만 있던 그가 다시 걷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보내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정교하게 밝혀냈다. 이를 바탕으로 인체 척수에
전극
을 삽입해 걷는 데 필요한 다리 근육을 정확히 골라 필요한 때 선별적으로 자극하는 새로운 치료 기술을 완성했다. 왼쪽 다리를 들어 앞으로 내뻗기 위해서는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야 하고, 다시 오른 다리를 뒤로 ... ...
희귀금속 대신 흔한 금속 사용 경제적 수소생산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한양대 화학공학과 이성철 교수 연구진은 기존에 물 분해에 사용하는
전극
으로 쓰던 희귀금속 대신 상대적으로 흔한 금속을 이용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현재 수소를 생산하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물을 전기로 분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 ...
녹조류에서 전기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조류에 삽입되면서 전류를 뽑아낼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생체 태양광 발전장치는
전극
기판 1㎠ 위에 약 10만 개의 조류세포를 올려 두고 전류를 추출할 수 있다. 중간에 다른 증폭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100nA(나노암페아) 이상의 전류를 얻었다. 이런 기능은 약 1주일 간 유지됐다. 연구팀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