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충전 속도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전해주는 ‘집전체’ 등을 여러 겹 겹쳐서 복잡하게 만들어야 했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
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았다. 작지만 성능은 좋아졌다. 충전 속도는 5배 빨라졌고 용량은 대폭 늘어났다. 공동 제1저자인 류재건 포스텍 연구원은 “일체형이 되면서 에너지 저장 공간이 늘어났고 ... ...
모기, 10m 떨어진 목소리도 듣는다
과학동아
l
2019.03.06
10m 떨어진 위치에서 여러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고, 동시에 모기의 뇌 부분에
전극
장치를 붙여 청각신경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기록했다. 그 결과 이집트숲모기는 150~500Hz의 주파수, 평균 31데시벨(dB) 크기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200~1000Hz, 45~70dB의 소리를 낸다. ... ...
출력 밀도 높고 충방전 속도 빠른 ‘슈퍼 커패시터’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비움 효과(Vacating effect)’라 이름 지었다. 또
전극
표면에 존재하는 이온 뿐 아니라 시스템 전체 이온들의 집합적인 움직임을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충·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노찬우 연구원은 ... ...
조기출산 신생아 생체정보, 무선으로 모니터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1
잘 늘어나고 접히는 어른 손가락 두 마디 크기의 부드러운 실리콘 패치에 광센서와
전극
등 측정 장비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소형화해 넣었다. 내부에서 전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금속도선은 두께 0.005㎜로 머리카락의 10분의 1 굵기다. 이 안에 교통카드에 들어가는 ... ...
버려지는 글리세롤로 수소와 화학원료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글리세롤에서 수소연료와 화학원료를 동시 생산하는
전극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활용기술이 없어 대부분 버려지고 있던 글리세롤에 새 쓰임새가 생겨날지 기대를 모은다. 김형주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자원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버려지는 ... ...
전기로 뇌 치료 ‘뇌전기자극술’ 안내할 ‘뇌 내비게이션’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뇌의 구조적 특징을 기반으로 가상공간에 일종의 ‘뇌 아바타’를 만들고, 여기에
전극
을 붙였을 때 일어날 자극 효과를 예측해 이를 지도처럼 이용해 치료했다. 뇌 속을 흐르는 전류와 그 영향을 실제처럼 알 수 있다고 해서 뉴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최근에는 여기에 개별 ... ...
전기 없이 화학반응만으로 도금하는 3D프린팅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추가적 열처리 과정도 없어 복잡한 형상의 3차원 기판에도 빠르고 단순하게 구리배선과
전극
을 제작할 수 있다. 설 책임연구원은 “무전해도금법 기반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만든 구리 인쇄물의 전도성은 일반 구리의 약 70% 수준으로 매우 높다”며 “패턴 혹은 3차원 구조물 프린팅 후 전도도를 ... ...
0.015원어치 백금으로 수소전지 성능 21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유도해 다양한 규격화된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성질이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 연료전지
전극
표면에 10나노미터 크기의 균일한 금속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하나의 입자가 갖는 촉매 특성을 고온에서 정확히 분석해 연료전지의 성능이 극대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 차세대 전자소자 활용 가능성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벗겨내면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준금속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를
전극
으로 사용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을 활용해 터널링 접합 소자를 제작하면 성능 좋은 비선형 부성미분저항(NDR) 소자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통상적인 저항은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가 늘어나는데 ... ...
컬러필터 없는 풀컬러 이미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구조에서 빛의 다중 간섭이 일어나 특정 파장의 빛만 투과되는 원리를 이용했다. 간섭계
전극
구성요소의 성분과 두께를 조절해 전기전도성을 희생하지 않고 적색, 녹색, 청색에 대한 색 선택성을 높였다. 색 선택성이란 이미지 센서가 색을 인식할 때 더 정확하게 읽어 들이는 정도를 뜻한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