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의 ‘아킬레스건’ 저장문제 연료전지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분리한다. 이때 나온 전자는 연료
전극
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만들어낸다. 역으로 연료
전극
으로 이동한 전자는 양성자와 만나 수소를 만들어낸다. 남는 전기로 수소를 만들고 이 수소를 연료전지 연료로 만들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문제는 투입한 전기에너지가 수소를 만들어내는 효율이 ... ...
포스텍 연구팀 리튬·황배터리 성능 향상
전극
개발
연합뉴스
l
2019.03.23
구조를 만들어 리튬이온과 전자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분극현상을 크게 줄여
전극
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김 교수는 "기존 리튬 이차전지의 문제인 양극재 용량을 대폭 늘려 짧은 주행거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전기자동차의 대중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 ...
혈자리에 살짝 전기만 줘도 혈압이 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기록법을 활용해 정중신경 부위의 신경섬유 활동을 측정했다. 미세 신경 기록법은 금속
전극
을 말초신경에 넣어 감각기에서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구심섬유 활동을 살피는 기술이다. 관찰 결과 전기 자극은 정중신경을 구성하는 감각신경 중 하나인 C섬유 활동을 자극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 ...
"제철소 배출 미세먼지 30% 줄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보건복지부는 20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1년 반 동안 진행된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 성과를 공유하는 행사를 열었 ... 집진기에 쓰일 자가
전극
세정기술도 개발됐다. 오염 세척을 위한 장치 분해 없이도 자체적으로
전극
을 80%정도 세척할 수 있다. ... ...
반도체 나노막대 사용해 빛 손실 문제 해결한 초박막 편광필름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전극
기판이나 한정된 공간에서 입자를 조립할 수 있는 패터닝된 기판이 필요하다.
전극
기판과 패터닝된 기판을 사용해 조립된 나노막대 필름은 두께가 불균일하고 두꺼워 균일할 초박막층을 사용해야하는 필름 소자에는 적합하지 않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공기-용액 계면과 나노막대 간의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때문에 발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우리 연구팀은 은나노와이어를 쓴
전극
을 쓰고 나방 눈 표면 구조를 이용해 빛 흡수 효율을 높여 그런 단점을 상쇄했다. 태양광 발전과 비 오는 날 마찰전기 생산 모두 할 수 있으며 자기세정 효과로 유지보수비용도 적은 태양광 패널을 만들 ... ...
바닷물에서
전극
부식 없이 수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상업적으로 전기분해할 때 필요한 전류 밀도인 1제곱센티미터(㎠)당 0.4~1암페어(A)에서도
전극
은 동작에 문제가 없었다. 바닷물을 이용한 전기분해는 부식 때문에 상업용 전류량의 10분의 1수준만 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캘리포니아 앞바다의 바닷물을 가지고 실험했을 때도 1㎠당 0.4A의 전류를 ... ...
혈액 속 독소, 중금속 모니터링하는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있는 진피층까지
전극
이도 달해 혈액 내 물질의 변화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이
전극
이 피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피부과와 협업해 인체에 무해하다는 사실까지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혈액 채취나 전처리 없이 간단히 혈액을 이용한 정확한 질병 예측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식도·위 동영상처럼 보는 캡슐내시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4
카메라, 코인 형 배터리, 자석이 들어가 있다. 캡슐이 촬영한 영상은 몸에 붙이는
전극
이나 벨트 타입의 수신부를 통해 수신기로 전송돼 저장된다. 초당 24장의 사진을 전송할 수 있어 마치 식도와 위를 동영상처럼 볼 수 있다. 수신기 배터리는 2시간 지속 가능하며 사진의 해상도는 320x320 dpi수준으로 ... ...
계명대 학부생 태양전지 저가 제작기술 개발
2019.03.08
특성을 바꿔 유기 태양광 전지에 적용했다. 또 'PEDOT:PSS'로 유기 태양광 전지 금속
전극
을 대체하는 데 성공해 비싼 설비가 필요한 진공증착 공정 없이 용액 공정만으로 태양광 전지 제작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씨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공정비용과 공정시간을 줄이는 것뿐 아니라 태양광 전지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