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QLED, 성능 떨어뜨리는 ‘불균형’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의해 갇혀 고립된 지점(양자점)을 광원으로 이용하는 소자다. 유리 기판 위에 흔히 투명
전극
으로 불리는 ‘인듐주석산화물(ITO)’을 올리고 위에 산화아연을 울린 뒤 그 위에 광원인 양자점을 둔다. ITO와 산화아연은 양자점에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그 위에는 다시 전자의 빈자리(홀(hole). 양공 ... ...
모자처럼 쓰면 스마트폰 화면에 뇌 활동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또 뇌파획득을 위해 두피에 액상의 전도성 젤을 발라야 하는 기존의 습식
전극
을 건식
전극
으로 대체하고, 머리에 쉽게 착용이 가능한 모자 형태로 설계해 장비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했다.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하면 획득한 뇌파 및 뇌혈류 신호를 컴퓨터와 휴대전화 등 기기로 간편하게 전송할 ... ...
아기 새는 '비브라토'로 노래를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것이다. 머리에
전극
을 꽂은 채 활동 중인 새. -사진 제공 윤신영 연구팀은 새의 뇌에
전극
을 꽂아 활성을 측정하는 연구를 통해(위 사진) 비브라토를 조절하는 신경망도 발견했다. 대뇌 기저핵 부위다. 대뇌 기저핵은 척추동물의 전뇌에 위치하며 운동이나 학습, 인식 등을 담당한다. 지금까지 ... ...
고혈압·뇌질환 치료 효과 높이는 ‘칼슘채널’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다음 세포 속에 크기 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정도 크기의 극도로 작은 미세
전극
을 넣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칼슘의 이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관찰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체 속 칼슘 형태는 알파1, 베타, 알파2감마의 3가지로 소단위체로 구분된다. 이런 소단위체가 세포 속을 ... ...
수소‧산소 동시 생산… 고성능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사용했다. 연구진은 수소연료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양쪽
전극
에서 모두 기능하는 촉매를 새롭게 개발했다. 여러 가지 물질을 실험한 결과 코발트-황(CoS2) 화합물을 이용하면 물을 전기분해시 양극과 음극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기존 코발트-황 ... ...
“진짜 LED TV 구현 가능해진다”… 고효율 마이크로 LED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속에 인듐과 주석 이온을 도핑해 효과적인 전류주입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투명
전극
을 만들었다. 이렇게 개발한 마이크로 LED는 기존에 사용돼 기존에 여러 과학자가 연구 중이던 마이크로LED에 비해 전류밀도는 13%, 광출력은 5%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가 차세대 고화질, ... ...
100번 이상 접어도 효율 높은 ‘유기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직접 흡수해 전류를 만드는 ‘광활성층’과 기판이 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투명
전극
’이 쉽게 깨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기존 태양전지 기판에 각종 첨가제를 넣어 유연성을 확보했다. 연구에 참여한 산산 첸 UNIST 에너지공학과 연구원은 “기존 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첨가제 ... ...
[2018노벨상]입자물리서 시작해 반도체·우주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평균 값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자기장과 전기장이 사라져도 자성이나
전극
이 유지되는 강상관작용전자계 신물질 연구에서, 이 교수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자소자 및 연료전지 연구에서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
‘슈퍼커패시터’ 권위자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 노벨상 유력후보 뽑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저장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인 연구 결과로 큰 주목을 받았다. 그래핀을 슈퍼커패시터의
전극
으로 처음 사용했던 그는 당시 논문에서 “‘화학적 변형 그래핀(CMG)’으로 명명한 새로운 탄소물질로 ‘울트라커패시터’를 구현해냈다”고 밝혔다.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발표한 이 논문은 ... ...
불 안 붙는 전기차 배터리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에 필요한 250~450도보다 크게 낮아 리튬 음극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전극
과 전지를 만들 수 있다. 하 책임연구원은 “전고체전지의 난제를 해결하고 상용화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현재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려는 연구를 하며 동시에 규모를 키우기 위한 후속 연구를 하고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