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 콘택트렌즈로 혈당, 안압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7
연구진은 투명도가 높고 신축성이 좋은 2차원 탄소 소재 그래핀과 금속 나노와이어로
전극
을 만들어 센서를 완성했다. 이 센서를 삽입한 투명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토끼 눈에 끼워 혈당과 안압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는 데 성공했다. 투명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센서가 수집한 바이오 ... ...
화면을 누르는 세기까지 포착하는 터치스크린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두 재료를 교차 정렬시키는 기술을 활용해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20㎝인 대면적 투명
전극
을 개발했다. 역학변색형 압력감지 터치스크린에 쓰인 글자(왼쪽)과 색을 통해 화면을 누른 세기를 분석한 결과. - UNIST 제공 실제로 연구진은 각종 글씨와 그림을 터치스크린에 써보며 누르는 세기에 ... ...
걸으면 충전되는 휴대용 ‘종이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4.13
격자 모양의 구조체 안쪽 면에는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불화에틸렌프로필렌(FEP) 필름과
전극
역할의 금이 자리하고 있다. 바깥쪽 면에는 축전기의 양극을 이루는 흑연과 금을 입혔다. 격자가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눌렸다 펴지기를 반복하면 전기가 발생하면서 충전이 되는 방식이다. 이전에도 ... ...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7.04.06
전선 역할만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실험쥐 두뇌의 후두정피질 근처에
전극
을 붙인 뒤 미로에 넣고 4일 동안 관찰했다. 후두정피질은 주로 운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그 결과 쥐가 미로를 찾아 헤맬 때 수상돌기는 세포체보다 최대 10배 많은 전류를 생성했다. 심지어 쥐가 잠을 ... ...
빛으로 자동충전되는 미래형 스마트폰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04
하나로 합친 ‘일체형 에너지 생산/저장 소자’의 모습. 소형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
전극
과 고체형 리튬이온 배터리가 알루미늄 집전체를 통해 상호 공유하도록 설계됐다. - 울산과학기술원 ... ...
1000시간 사용해도 끄덕 없는 튼튼한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31
떨어지지만, 연구진이 개발한
전극
은 효율이 단지 6.7% 감소했다. 연구진은 개발된 광
전극
을 재료로 새로 개발한 ‘핫-프레싱(hot-pressing)’ 공법을 적용해 태양전지를 제조했다. 핫-프레싱은 온도와 압력을 가해 두 물체를 단단히 점착시키는 방법이다. 개발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 ...
꿈을 꾸게 하는 ‘렘(REM) 수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3.13
실험 모습. - KIST 제공 연구진은 일반 우리에서 잠을 자며 렘 수면에 빠진 쥐의 뇌에
전극
을 삽입해 관찰했다. 그 결과, 느린 뇌파와 빠른 뇌파가 동시에 관측됨을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느린 뇌파는 뇌세포의 피로를 풀어주고, 빠른 뇌파가 기억 형성 등 뇌 활동을 반영한다. 즉, 렘 수면이 뇌의 ... ...
비가 와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9
절연막을 도포해 렌즈를 제작했다.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면 렌즈가 이를 인식하고
전극
에 전기를 흘려보낸다. 이때 물방울의 표면장력은 더 쉽게 굴러 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진동과 함께 아래 방향으로 제거되는 식이다. 연구진은 굵고 가는 다양한 크기의 빗물을 유리 표면에 뿌리며 성능 ... ...
몸안에 이식해도 염증 염려 대폭 줄인 신경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6
않음을 확인했다. 기존
전극
은 2~3주가 지나면 신호가 점점 약해지지만 이 신경
전극
은 실험이 진행되는 6개월 간 전기신호가 일정하게 유지됐다. 이 연구원은 “인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생체적합성이 높은 재료”라며 “중추 및 말초 신경계 손상에 의한 신경 장애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 ...
[작심일주③ 주(酒)빈에서 수(水)빈으로] 물 마셨더니 피부가...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찾았다. 피부 속 수분은 생체 전기저항 측정(BIA) 방법을 통해 측정했다. 측정기 끝부분의
전극
을 피부에 갖다 대어 피부에 전류를 흘려 보내고 그때 생기는 피부 저항값으로 수분량을 계산해 내는 원리다. 물을 마시기 전후 측정한 부위는 같았고, 씻은 뒤 똑같이 스킨과 로션을 바른 상태에서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