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양식
음식
영양물
식료품
식료
음식물
d라이브러리
"
식품
"(으)로 총 1,482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수학 잘 하면 탄소 줄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줄일 수 있다. 115원에 해당하는 전기(1kWh)를 아끼면 0.42kg의 이산화탄소가 덜 배출된다.
식품
에도 탄소발자국 남긴다평소 건강을 생각하는 수동이는 비타민음료를 꼬박꼬박 챙겨 마신다. 오늘도 가게에서 항상 먹던 비타민 음료를 고르는데 문득 음료수병에 ‘CO2 115g’라고 적혀 있는 것을 발견했다.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염장한 형태로 유통됐다. 재미있는 것은 지금과 달리 고등어의 창자가 중요한 가공
식품
으로 쓰였다는 사실이다. 1611년 허균은 ‘도문대작’에서 고등어의 창자젓이 가장 좋다고 밝혔다. 조선 후기 진상품에 관한 절차를 규정한 ‘공선정례’에도 고등어의 창자젓을 가리키는 ‘고도어장장해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오발부민(ovalbumin)이라는 단백질이 백신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우려에 따라
식품
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지난 10월 15일부터 녹십자 화순 공장을 점검하고 있다.그러나 지금까지 독감 백신이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확인된 사례는 없었다. 보건당국은“역학조사결과 사망자 ... ...
누에와 함께한 특별한 추억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필자가 대학원에 진학할 당시에는 생명공학 붐이 지금처럼 일지 않았다. 오히려 돼지고기가 열리는 나무, 호박만한 토마토와 같은 유전공학 생산물을 사람들은 극대화된 과학기술의 상징물이라며 희화해했다. 참고로 당시 화학공학과 안에서 세부전공의 인기도는 수년간 반도체와 고분자 분야가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생명공학농업생명공학기술바로알기협회 지음 | 푸른길 | 192쪽 | 1만 3000원몇 해 전부터 GMO
식품
에 대한 알 수 없는 불안감이 퍼지며 생명공학에 대한 반감도 커졌다. 이 책은 생명공학이 우리가 먹는 음식에 얼마나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며 과학기술 그 자체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음을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소금의 다양한 쓰임새. 소금박물관에는 음식의 맛을 내는
식품
으로서의 소금뿐만 아니라 무기나 건축, 의복 같이 생활 전반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소금이 전시돼 있다. 조선시대 로켓 화살포였던 신기전의 폭약을 제조하는 데 소금이 쓰였다는 점과, 옷감에 염색을 할 때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저절로 살이 빠지는 기능성 음료는 아니다. 아직까지 식약청에서 차 음료를 건강기능
식품
으로 인증한 사례가 없는 이유다. 체질에 따라 골라 먹는 한방차 최근 출시된 차 음료에는 한약재로 쓰이는 원료가 많이 들어 있다. 하지만 차 음료는 약이 아니기 때문에 약재의 효능보다는 맛을 더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예다. 함경식 소장은 미국 조지아대에서 생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997년부터 목포대
식품
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관심을 못 받아왔던 천일염에 대한 연구를 2003년부터 시작해 지금은 국산 천일염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아시아 최초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쫄면의 주재료는 밀가루다. 여기에 쫄깃함을 더하기 위해 호화된 전분과 구아검 같은
식품
첨가물을 넣는다. 검이란 물에 녹아서 점성을 나타내는 고분자화합물인데, 맥주의 거품안정제나 젤류의 보존물로 쓰인다.하지만 쫄면의 질긴 듯한 쫄깃함은 열과 압력으로 면을 뽑는 압출식 제면 방식의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런 물질과 인체 외부에서 접촉했던 체액, 세포, 조직, 장기를 이식하는 과정’. 미국
식품
의약국(FDA)은 이종장기이식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동물조직을 사람 몸에 이식할 때 가장 큰 문제는 면역거부반응이다. 인체가 동물조직을 몸의 일부가 아닌 이물질로 인식하기 때문에 각종 방어메커니즘이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