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뉴스
"
맛
"(으)로 총 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스키에 물을 타면 향이 더 좋아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18
양주를 원하는 술꾼은 없겠지요. 하지만 위스키를 마실 때 물을 한 두 방울 떨어뜨리면
맛
과 향이 한결 살아납니다. 주로 영국이나 아일랜드에서 많이 쓰는 방법이라고 하는데요. 물을 넣으면 위스키의 풍미가 좋아지는 원인을 과학적으로 탐구한 연구가 나왔습니다. 위스키는 원액을 물에 여러 ... ...
[때와 곳 17] 영화관: 다른 인생을 느껴보는 곳
2017.08.12
산다. 그래서 문학평론가 김현의 말마따나 “호랑이가 담배를 끊으면 사람은 살
맛
이 안 난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 편집자 주 [마음을 치는 시(詩)]와 [생활의 시선]에 연이어 윤병무 시인의 [때와 곳]을 연재합니다. 연재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과 장소’에 초점을 맞춘 또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크기의 우간다녹심목 열매를 한 입 깨문 순간 “한 개도 도저히 먹을 수 없을 정도로 그
맛
이 맵고 고약했다”고 쓰고 있다. 랭엄은 이들 야생 식물에 들어있는 ‘풍미가 매우 강하고 향이 독한’ 화합물 중 다수가 “인간에게는 유독하지만 침팬지에게는 그 독성이 훨씬 약하게 작용하는 것 ... ...
[카드뉴스]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동아사이언스
l
2017.08.03
빼놓을 수 없죠. 여름 전복은 콜라겐이 적어 육질이 연하고 지방과 아미노산이 많아
맛
이 뛰어납니다. 전복은 복족강 원시복족목 전복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입니다. 얼핏 보기에 조개처럼 생겼지만 오히려 고둥이나 달팽이와 비슷합니다. 납작하지만 나선형으로 꼬인 껍데기를 등에 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유명 연주자들)로만 듣다가 유튜브로 연주장면을 ‘시청’하니 클래식 연주도 ‘볼
맛
’이 쏠쏠하다는 걸 발견했다. 특히 빠른 템포에서 연주자들의 손을 클로즈업한 화면이 눈길을 사로잡았는데 현을 짚고 건반을 두드리는 현란한 손놀림이 경이로웠다. 세 사람의 연주를 지켜보다 문득 ‘인간이 ... ...
[카드뉴스]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물로 분해합니다. 더위가 심한 인도에서는 발한작용으로 인한 상쾌함을 얻기 위해 매운
맛
의 향신료를 흔히 쓰는데요. 인도인들이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하는 강황 뿌리에는 커큐민이라는 파이토케미칼 성분(식물활성영양소)이 들어 있습니다. 커큐민은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NF-kappaB 유전자의 활동을 ... ...
[써보니] MS의 첫 노트북, '서피스 랩톱'
2017.07.21
키보드는 꽤 깊이 눌리는 편인데 가볍지 않고, 흔히 이야기하는 ‘쫀득하게’ 눌리는
맛
이 있다. 배열도 편하고 오타도 잘 나지 않는다. 터치패드의 질도 아주 좋다. 두 손가락으로 화면을 스크롤할 때도 매끄럽고 반응도 좋다. 손바닥이 닿으면서 생기는 오작동도 없다. 비교가 애매하긴 하지만 ... ...
물은 정말 무(無)
맛
일까?
과학동아
l
2017.07.13
않았음에도 계속 물통을 핥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는 신
맛
수용체가 물을 인식한다는 명확한 증거”라고 말했다. doi:10.1038/nn.457 ... ...
아이들 스스로 콩과 채소를 먹게 하는 방법
2017.07.09
다르게 준비해주세요. 아이들은 익숙한 음식과 함께 가끔은 새로운 음식을 눈으로 보고
맛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해야 익숙하지 않은 음식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을 테니까요. 시작을 해야 다음도 있는 법입니다. 사실 엄마들 입장에서는 매 끼니 다른 음식을 준비하고 제공한다는 것이 힘들고 ... ...
냉라면 과학적으로 더
맛
있게 만드는 비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만든다. 이 물질은 열에 약해 라면을 끓이는 동안 매운
맛
을 잃는다. 마늘을 구우면 매운
맛
이 사라지는 이치다. 냉라면에는 수프를 끓이는 과정이 없다. 따라서 수프에 있는 자극취성 물질이 사라지지 않고 고스란히 혀에 닿는다. 박성관 삼양식품 식품연구안전센터 부장은 “전분 함량이 높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