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맥
맥곡
맥류
경지
d라이브러리
"
보리
"(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때문에 추위를 이기는 데 유리하다.호랑이의 경우 북방의 시베리아호랑이는 체장(코끝-
보리
끝)이 흔히 3m(개체기록으로는 3.9m)를 웃도는 데 비해 남방의 벵갈호랑이의 평균치는 2.85m(수컷)인 것으로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법칙은 같은 벵갈호랑이에서도 더운 저지대의 것보다 네팔과 같이 한냉한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개불알꽃 앵초 괴불주머니 등 10여 종을 일반에게 공개해 호평을 받았다."할미꽃이나
보리
도 알아보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우리 자생 식물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전시회를 열었습니다."김창렬 회장은 "우리나라 자생종의 좋은 꽃들이 많은 데도 불구하고 외래종 꽃들이 더 ... ...
메소포타미아 농업 기원설에 반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강둑을 따라 살았던 사람들에 의해 농업이 태동했다고 믿어 왔다. 이들이 '갑자기' 밀과
보리
같은 곡물의 씨를 뿌리고 수확하는 법을 터득했다고 생각한 것.그러나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농업이 출발되었다는 설은 현재 많은 반론에 부딪쳐 있다. 한 예로 런던에 있는 고고학연구소의 고든 힐맨은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그것."아름다운 화원을 조성해 여러가지 꽃들을 잘 가꾸어 놓은 것이 볼 만하지만 거기에
보리
밀 메밀 등의 곡식과 채소 외에 엉겅퀴 도라지 붓꽃 억새 애기똥풀 민들레 할미꽃 등을 심어 놓아 여간 보기 좋은 게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생식물인 복수초 처녀치마 은방울꽃 앵초 ... ...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다윗도 백향목으로 지은 궁전에서 살았다.그러나 삼림이 울창하던 레바논 산지와,
보리
와 올리브 등 농산물이 풍부하던 주변 지역이 오늘날에는 황량한 사막으로 변하고 말았다.레바논의 삼림은 기원전 10세기부터 벌채가 활발해지기 시작해 1세기를 전후하여서는 거의 소멸됐다. 삼림의 파괴는 곧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식품가공에 이용했다. 가령 발아하는 겉
보리
에는 전분분해효소가 있다. 이 효소는 겉
보리
가 발아할 때 녹말분해효소(amylase)를 만들고, 다시 전분을 분해해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물질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우리 조상은 엿기름을 만들고, 쌀로부터 당밀을 만들었다. 이는 쌀밥에 있는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해표류 및 북극곰과 북극여우 등이 있다. 고래류에는 수염고래와 이빨고래가 많다.
보리
고래 혹등고래 대왕고래 등이 있으며 말향고래 범고래 돌고래 일각고래가 있다. 길이가 7~8m인 일각고래는 돌고래의 일종으로 길이 5m 정도의 뿔로 유명하다.해표류는 물개와 해표와 월러스가 있다. 물개는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것으로 보여진다. 일본에서도 옛날에는 쌀이 상당히 귀하여 일반서민은 수수 기장 피
보리
등을 주식으로 하였다. 쌀의 생산이 증가됨에 따라 이들과 혼합하여 먹는 혼식이 한때 성행되었다.현재 일본에서는 정월 설날 축제, 아기가 태어났을 때 또는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에는 반드시 쌀을 올리는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입에 해당하는 곳을 동양에서 키별이라고 부른다. 키라는 것은 시골에서 쌀이나
보리
등의 껍질을 벗길 때 쓰는 커다란 쓰레받기 모양을 한 기구인데, 도시의 사람들에게는 약간 낯선 물건일 것이다. 하지만 키별 속에서 그 기구를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불명의 켄타우르사수자리는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
보리
이삭'이라는 뜻인데, 로마인들은 이 별이 '수확의 신' 세레스(Ceres)의 손에 쥐어진
보리
이삭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이 별은 황도 바로 옆에 위치한 아주 밝은 별이어서 고대에 황도를 찾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했다. 바빌로니아시대엔 처녀의 허리띠로 알려졌었고, 중국에서는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