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식"(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느끼는 맛은 단맛 쓴맛 신맛 짠맛에 지나지 않으니까요. 감기에 걸려 코가 막혔을 때 음식에서 맛을 느끼지 못했던 경험을 생각해본다면 누구나 아~하고 끄덕일 거에요.”하지만 박교수는 “냄새가 워낙 변화무쌍하고 다루기 힘든 특성 탓에 후각의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는 다른 감각에 비해 매우 ...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성장호르몬과 함께 분비되면 매년 8~9㎝씩 자랄 수도 있단다. 이 때 키가 잘 크는 음식을 먹고 운동을 하면 서현이를 따라 잡을 수도 있겠지.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밤에 일찍 푹 자는 습관을 들여야 키가 조금씩 크지 않겠니?”“그런데 애들은 성장판이 닫혀서 더 이상 크지 않을 거래요.”“성장판은 ...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들어오는 내용은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소금의 다양한 쓰임새. 소금박물관에는 음식의 맛을 내는 식품으로서의 소금뿐만 아니라 무기나 건축, 의복 같이 생활 전반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소금이 전시돼 있다. 조선시대 로켓 화살포였던 신기전의 폭약을 제조하는 데 소금이 쓰였다는 점과, ... ...
- 팔방미인 과학실험 장비 ‘HBL’과학동아 l2009년 10호
- 기압, 조도, 습도, 심전도 등 50여 가지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염도 센서를 이용하면 음식물 속 염분량을 알아낼 수 있고 pH센서로는 음료의 산성도를, CO2 센서로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조도 센서를 이용하면 책을 읽거나 TV를 시청할 때 적당한 밝기를 알 수 있어 시력을 ...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과학동아 l2009년 10호
- 갈치새끼를 애호박과 함께 지지거나 잘 으깨어 거른 다음 초피가루를 넣어 국으로 끓인 음식도 놓칠 수 없는 별미다.서서 헤엄치는 물고기갈치(Trichiurus lepturus)는 농어목 갈치과의 바닷물고기다. 몸은 기다란 칼 모양이며, ‘갈치(칼치, 刀魚)’라는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막 깨어난 새끼는 보통 ...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수학동아 l2009년 10호
- 두루마리 화장지를 사면 덤으로 하나를 더 얹어 주는 식이지요. 구매 빈도가 낮은 음식물처리기에 라면과 같은 생필품을 끼워 팔기도 합니다. 심지어 모 할인점에서 선풍기에 수박을, 에어컨에 쌀과 같은 농산물을 덤으로 주는 끼워팔기 행사를 펼쳐 농가의 원성을 사기도 했습니다.할인판매는 어떤 ...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수학동아 l2009년 10호
- 톱니 수는 왜 21개? 음식점에서 시원한 콜라를 주문하면 항상 병따개가 따라온다. 꺼끌꺼끌한 콜라병의 뚜껑을 따려면 병따개를 대고서 약간 힘을 줘야 한다. 사이다병이나 맥주병도 하나같이 금속 재질에 뾰족한 톱니가 달린 병뚜껑이 달려 있다. 톱니 수를 세어 보면 똑같이 21개다. 병뚜껑의 톱니 ...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수 없으니 이왕 먹는 것이라면 건강한 소금을 먹자는 얘기다. 끝으로 많은 사람들이 직접 음식에 넣어 먹는 소금은 좋은 소금을 쓰려고 신경 쓰는데, 라면이나 과자 같은 가공식품에는 어떤 소금을 쓰는지 관심이 없다. 우리가 섭취하는 소금의 80%는 가공식품에 들어 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있긴 하지만 소장은 움직임이 많아 의사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 물과 함께 삼킨 뒤 음식처럼 내장 전체를 훑으며 내려가는 캡슐형 내시경이 소장을 쉽게 들여다볼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다.현재 캡슐형 내시경은 국내 대형병원에서 도입해 활용 중이다. 2001년 이스라엘에서 처음 개발된 이래 ... ...
- 걸리버 여행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국왕과 걸리버가 맺은 조약 중에는 위처럼 릴리퍼트는 걸리버에게 1728명을 먹일 수 있는 음식을 제공한다는 항목이 있습니다. 왜 1700이나 1800이 아니라 꼭 1728명일까요?그건 측정 결과 걸리버의 키가 릴리퍼트의 사람보다 약 12배 컸기 때문입니다. 길이가 12배 커지면 면적은 12의 제곱, 부피는 12의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