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음식
"(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 있는 성분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카테킨으로 녹차 중량의 10~15%를 차지한다. 카테킨은
음식
물로 섭취한 지방이 에너지원으로 쓰이도록 만들어체내에 축적되는 일을 막는다. 하지만 녹차에서 떫은맛을 내는 카테킨이 들어가면 음료의맛이 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최근 출시된 차 음료는 몇몇 제품을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톱니 수는 왜 21개?
음식
점에서 시원한 콜라를 주문하면 항상 병따개가 따라온다. 꺼끌꺼끌한 콜라병의 뚜껑을 따려면 병따개를 대고서 약간 힘을 줘야 한다. 사이다병이나 맥주병도 하나같이 금속 재질에 뾰족한 톱니가 달린 병뚜껑이 달려 있다. 톱니 수를 세어 보면 똑같이 21개다. 병뚜껑의 톱니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국왕과 걸리버가 맺은 조약 중에는 위처럼 릴리퍼트는 걸리버에게 1728명을 먹일 수 있는
음식
을 제공한다는 항목이 있습니다. 왜 1700이나 1800이 아니라 꼭 1728명일까요?그건 측정 결과 걸리버의 키가 릴리퍼트의 사람보다 약 12배 컸기 때문입니다. 길이가 12배 커지면 면적은 12의 제곱, 부피는 12의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두루마리 화장지를 사면 덤으로 하나를 더 얹어 주는 식이지요. 구매 빈도가 낮은
음식
물처리기에 라면과 같은 생필품을 끼워 팔기도 합니다. 심지어 모 할인점에서 선풍기에 수박을, 에어컨에 쌀과 같은 농산물을 덤으로 주는 끼워팔기 행사를 펼쳐 농가의 원성을 사기도 했습니다.할인판매는 어떤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맛은 어떨까. 속부터 겉까지 면 전체가 쫄깃하고 탱글탱글한 수제 우동은 전혀 새로운
음식
이라고 여겨질 만큼 맛있었다. 앞으로 고속도로 휴게실에 있는 우동은 못 먹을 것 같다. 기하급수적으로 가닥 수 늘어나는 수타자장면 긴 반죽 덩어리가 붕붕~ 공중에서 돌더니 휘리릭~ 어느새 꽈배기가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음식
이 생겼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가늘고 기다란 형태의
음식
이 탄생하게 됐을까. 이에 대한 답을 알려면 먼저 밀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밀의 속껍질은 쌀과 달리 여러 겹의 단단한 층으로 이뤄진 탓에 간단히 분리할 수가 없다. 알맹이를 상하지 않게 꺼내기가 만만찮아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말이다. 팀의 슬로건이 ‘
음식
을 통한 자유, 자유를 위한
음식
’인 이유와 맞닿아 있다.
음식
으로, 기술로 이역만리 타지의 인류를 도우려는 한국 청년들의 열정과 꿈이 앞으로 어떤 결실을 맺을지 주목된다 ... ...
사춘기 여드름보다 독한 성인 여드름 퇴치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최근 학계에서는의사들에게 여드름 환자들의
음식
물을 제한하라고 권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혈액 속에 녹아 있는 지질의 양이 피지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여드름 짤 때는 손톱 대신 압출기로그렇다면 여드름을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밀가루 알레르기로 확진되면 밀가루가 들어 있는
음식
을 피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면발의 힘 글루텐 맛있는 세계 면류 ... ...
계륵(鷄肋)과 암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의암댐 건설로 생긴 인공호수가 주변 산과 어우러져 있다. 관광 명소인 춘천의 유명한
음식
으로는 닭갈비가 있다. 닭갈비는 한자로 계륵(鷄肋)이라고 하는데, 이는 먹자니 먹을 것이 별로 없고 버리자니 아까운 경우를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계륵의 유래는‘삼국지’의 조조(曹操)에 대한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