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음식
"(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불어넣어 부풀리는 방식이지요.달기지에 필요한 자재와 우주인이 머무는 데 필요한
음식
이나 물 등은 착륙선인 알타이르 호에 실려 운반됩니다. 알타이르 호는 한 번에 6톤의 짐을 실어 나를 수 있습니다.달기지가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질지는 2010년이후에 결정됩니다. 그리고 2020년부터 1년에 서너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도와준다. 가끔은 우정이 너무 뜨거워서 내가 팥죽처럼 묽어지기도 한다. 물은 음료나
음식
을 통해 소화기관으로 들어오거나 침이나 위액, 이자액, 쓸개즙, 십이지장액처럼 몸속에서 태어나기도 한단다. 위와 장에서 살고 있는 걔네 가족을 모두 합하면 9~10L나 된다. 그중 약 99%는 소장과 대장에서 ... ...
“소외층, 제3세계 구하는 제품 개발해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기발하고 성능이 뛰어난 디자인도 있었다. 대상을 수상한 ‘불소제거장치’는
음식
물 쓰레기로 분류되는 게 껍질을 빻아서 물속 불소 이온을 거르는 흡착제로 이용했다.그 결과 불소 이온이 10ppm(기준치 2ppm의 5배)이나 들어 있던 물은 불소 이온 농도가 0.28ppm인 물로 정화됐다. 이 장치를 공동개발한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 전보다 맛과 영양뿐 아니라 소화율까지 월등히 좋아진다고 한다. 맛깔스러운 전통
음식
에 숨은 과학성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삭힌 홍어의 참맛을 이해하기란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니다. 아무 생각 없이 덥석 입 안에 넣었다가는 코에서 불이 나고, 입 천장이 홀랑 벗겨지는 듯한 경험을 ... ...
사막이라도 괜찮아~! 낙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질기고 거친 식물이 낙타의 주식이지요.열흘을 굶어도 견딜 수 있는 회복력사막에서는
음식
을 자주 먹을 수가 없어요. 하루종일 굶는 일도 다반사고 어떨 땐 몇날 며칠을 굶기도 하지요. 하지만 낙타는 열흘을 굶어도 버틸 수 있다고 해요. 단 열흘을 굶을 경우 원래 체중의 20% 정도가 빠져요. 사람의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종교달력이다. 이슬람교에서는 9번째 달을 라마단이라고 하여 해가 떠 있는 동안
음식
을 먹지 않는다. 라마단은 순수한 음력으로 정하기 때문에 양력과 맞지 않아 일 년에 11일씩 빨라진다. 따라서 라마단은 9월이지만 여름이 될 수도 겨울이 될 수도 있다. 네 번째 공정 일년을 만들자이제 제작 ... ...
작은 로봇이 인간의 뇌를 탐구한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능력을 기록해 칼의 두뇌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했습니다. 쥐의 의사결정 능력은 쥐에게
음식
을 주는 자극을 매일 달리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쥐의 행동을 분석해서 얻었습니다. 쥐에서 얻은 뇌 기록으로 매일 반복되는 자극을 주면 칼은 쥐와 똑같은 행동을 배울 수 있습니다. 칼은 실제 쥐가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느껴질 수 있을까. 똥에서 구린 악취를 만드는 주요 분자는 장 속에 사는 세균이
음식
물을 소화시키면서 만들어내는 스카톨과 인돌이다. 또 황화수소와 메탄, 암모니아 기체도 냄새를 만든다.사실 스카톨은 우유 단백질(카세인)에 많이 들어 있다. 몸속에서 합성할 수 없지만 살아가는 데 반드시 ... ...
쇠고기보다 단백질 풍부한 달팽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나오는 달팽이 요리가 이제 개발도상국에서 쇠고기나 달걀을 대신해 단백질을 보충하는
음식
으로 떠오르게 됐다.나이지리아 우요대 가정학과의 우크퐁 우도피아 교수팀은 서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자이언트달팽이(Archachatina marginata)를 분석한 결과 쇠고기보다 단백질과 철분이 풍부하다는 사실을 ... ...
겨울 추위 녹이는 우리 자연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둘려 있는 깃털 중 하나를 뽑아 아기 새의 입에 넣는다. 뿔논병아리는 매나 올빼미처럼
음식
찌꺼기를 걸러낼 모래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먹이를 먹은 뒤 물고기 뼈 같이 소화되지 않는 부분은 깃털과 함께 뭉쳐 알 모양(펠릿)으로 다시 뱉어 버린다.수컷은 아기를 키울 때뿐 아니라 사랑을 속삭일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