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양식
음식
영양물
식료품
식료
음식물
뉴스
"
식품
"(으)로 총 3,35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FDA,고령층·고위험군에만 부스터샷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9.24
나타낸 지도. 색깔이 짙어질수록 접종자가 많다는 뜻이다. 아워월드인데이터 제공 미국
식품
의약국(FDA)이 22일(현지시간) 65세 이상 고령층과 고위험군에게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의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승인했다.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FDA는 이날 화이자 백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만치료제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1.09.23
개발됐고 용량을 늘려 임상시험을 한 결과 체중감량 효과가 인정돼 지난 6월 미
식품
의약국(FDA)이 비만치료제로 승인했다고 한다.게임체인저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세마글루타이드 승인을 계기로 비만치료제의 현황을 살펴보자. ○ 1999년 본격적인 비만치료제 시대 열려 비만치료는 세 ... ...
셀트리온 "미 국방부에 7382억원 규모 코로나 진단키트 공급 계약"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않은 사람을 제품이 음성으로 판정하는 비율이다. 디아트러스트는 지난 4월 미국
식품
의약국(FDA)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 허가를 받았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미 국방부 조달사업에 공급업체로 참여한 것은 기술력과 공급능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전 세계적 변이 바이러스 확산이 심각해지는 ... ...
미국, 일 후쿠시마 사고후 도입
식품
수입규제 철폐…일 총리 쿼드 정상회담 참석 맞춰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관한 방사성물질 수입 규제 해제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까지 일본산 농수산물과
식품
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는 국가는 일부 현에 대한 수입 제한하는 한국과 중국, 대만 등 5개국과 시험인증서를 요구하는 영국과 유럽연합(EU) 일부국가 등 9개국을 포함해 14개국이 남아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 ... ...
[랩큐멘터리] 두 얼굴의 일산화질소, 나노입자로 다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기술력을 확보하는 게 필수”라며 “현재 모더나가 사용하는 고분자 물질 성분 등 미국
식품
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물질을 기반으로 생체 친화적 고분자 물질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 ...
"고른 영양분 섭취·식량불안정 해결책은 수산
식품
"..."기후변화 대응에도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0
양이 오히려 자연산에서 채취할 때 배출되는 양보다 적었다. 연구팀은 “자연산 수산
식품
은 이송을 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양이 많다”며 “양식은 그런 점에서 자유로워 오히려 배출량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 ...
모더나 백신 4분의 1만 맞아도 면역기억 6개월 이상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0
주 간격으로 2회 투여한 35명을 대상으로 6개월 후 항체와 면역세포 반응을 분석했다. 미국
식품
의약국(FDA)의 긴급 승인을 받은 모더나의 정식 용량 100㎍의 4분의 1만 투여한 것이다. 분석 결과 25㎍ 용량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들에게서 강력한 T세포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T세포 반응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환경 덜 파괴하고 식단 개선하는 ‘블루푸드’
동아사이언스
l
2021.09.1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하고 블루 푸드를 재조명했다. 블루 푸드가 미래
식품
시스템에 공헌할 수 있다고 보고 블루 푸드와 관련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제시카 게퍼트 미국 워싱턴DC 소재 아메리칸대 교수 연구팀은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식량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 ...
추석 벌초·성묘·농작업 때 벌· 뱀·진드기 조심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9.18
정지원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특히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식품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등이 있는 사람은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보다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할 위험이 3~5배 높다”며 “꿀벌보다 말벌에 쏘였을 때 더욱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이런 위급한 상황을 ... ...
최초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 데뷔하자마자 효능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을 승인했다. 미국 바이오젠 제공 미국
식품
의약국(FDA)이 지난 6월 승인한 최초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이 효능 논란에 휩싸였다. 승인 직후 미국의사협회지(JAMA)와 7월 '영국의학저널(BMJ), 8월 27일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