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당"(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흑당 VS. 흑설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흑당과 설탕은 모두 사탕수수에서 만들어진다. 사탕수수의 줄기에는 설탕의 주성분인 자당이 10~20% 정도 들어 있어서, 줄기를 짜내면 달콤한 맛을 내는 즙이 나온다. 열을 가해 즙을 졸인 뒤 식히고 굳히면, 검정색 시럽 형태의 흑당이 된다. 흑당은 사탕수수즙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탕수수에 ... ...
- [이달의 PICK] 올해는 너로 정했어, ‘루비 초콜릿’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균은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다. 카카오빈을 둘러싸고 있는 중과피에는 포도당, 과당, 자당 등 당 성분과 구연산이 많아 산성을 띤다(pH3). 효모는 24~36시간 동안 당을 발효시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 그리고 여러 휘발성 화합물을 만든다. 효모의 뒤를 이어 우위를 점하는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벌거숭이두더지쥐의 혈액을 채취해서 대사물질 86종의 농도를 분석했다. 그결과 과당과 자당(설탕)의 농도가 유난히 높아진 현상을 확인했다. 이들은 대사증후군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특히 설탕은 식물에서만 생성된다. 분석 결과 세포에 과당을 공급해 주는 분자가 일반 쥐에서는 ...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여기서 말하는 당류란 포도당이나 과당 같은 단당류와 설탕(자당) 같은 이당류를 뜻한다.식약청은 2008, 2009,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분석했다. 2010년 한 사람이 하루에 섭취한 당의 양은 평균 61.4g으로 2008년 49.9g에 비해 무려 23%나 늘어났다. 그런데 자료를 자세히 ... ...
- 피지 사탕수수 기행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정제하는 과정에서 이런 색소나 냄새분자를 거의 제거하기 때문에 거의 순수한 자당만 남는다. 요리과정에서 순수하게 단맛만을 부여하고 싶을 때 갈색설탕보다 백설탕이 선호되는 이유다. 우리나라의 경우 ‘설탕=흰색’이라는 인식이 강해 거의 모든 경우 백설탕을 쓴다.반면 사탕수수의 나라 ... ...
- '명왕성'을 찾아 떠난 여행, 그 뒤과학동아 l2008년 08호
- 최초의 수치제어공작기계인데, 현재는 각종 공작기계가 수치 제어화되어 있다 설탕·자당(蔗糖)·첨채당(甛菜糖)·사카로오스라고도 한다 분자량은 34230이며 구조상으로도 알 수 있듯이 효소적으로는 a-D-글루코시다아제(수크로오스 a-D-글루코히드라아제) 및 R-D-프룩토푸라시노다아제(인베르타아제 ...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최초의 수치제어공작기계인데, 현재는 각종 공작기계가 수치 제어화되어 있다 설탕·자당(蔗糖)·첨채당(甛菜糖)·사카로오스라고도 한다 분자량은 34230이며 구조상으로도 알 수 있듯이 효소적으로는 a-D-글루코시다아제(수크로오스 a-D-글루코히드라아제) 및 R-D-프룩토푸라시노다아제(인베르타아제 ...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학동아 l2008년 05호
- 균일한 세기 E의 전기장을 걸었을 때, 계 전체의 전기장 방향의 쌍극자모멘트는 1원자당 pL(pE/kT)가 된다(k는 볼츠만 상수, T는 절대온도)L(x)는 x가 작을 때는 x/3와 거의 같고, x가 커질수록 1에 가까워진다암석의 주요 구성 광물로서 널리 산출된다반려암·현무암과 같이 다소 염기성인 암석에서 흔히 ...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최초의 수치제어공작기계인데, 현재는 각종 공작기계가 수치 제어화되어 있다 설탕·자당(蔗糖)·첨채당(甛菜糖)·사카로오스라고도 한다 분자량은 34230이며 구조상으로도 알 수 있듯이 효소적으로는 a-D-글루코시다아제(수크로오스 a-D-글루코히드라아제) 및 R-D-프룩토푸라시노다아제(인베르타아제 ... ...
- 로스웰 사건의 실체과학동아 l2007년 08호
- 균일한 세기 E의 전기장을 걸었을 때, 계 전체의 전기장 방향의 쌍극자모멘트는 1원자당 pL(pE/kT)가 된다(k는 볼츠만 상수, T는 절대온도)L(x)는 x가 작을 때는 x/3와 거의 같고, x가 커질수록 1에 가까워진다암석의 주요 구성 광물로서 널리 산출된다반려암·현무암과 같이 다소 염기성인 암석에서 흔히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