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리
잴리
쩰리
한천
캔디
jelly
d라이브러리
"
젤리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젤리
처럼 피부에 찰싹 붙는 터치패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잘 깨지지 않아서 앞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선정윤 교수는 “
젤리
처럼 생긴 터치패드를 웨어러블 기기의 재료로 사용한다면 더욱 가볍고 편리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
로 변신! 분자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알긴산칼슘과 염화나트륨이 만들어져요. 이 중 알긴산칼슘은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젤리
처럼 말랑말랑해요. 이 화학반응은 굉장히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나기 때문에 주스 방울은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굳는답니다.단, 알긴산나트륨과 염화칼슘 모두 반드시 식용으로 만들어진 것만 사용해야 해요. 또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젤리
가게 주인 ‘ 안질리나
젤리
’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화해한 모습에 감동을 받아 홍보를 돕기로 했다. 그 결과…, 썰렁홈즈는 개업 축하
젤리
를 근처 100개의 집에 일일이 돌려야 했다.“흑…. 내 다리 어쩔겨~!”그림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이름을 딴 거지요. 또 가수 비욘세의 이름을 딴 말파리(Scaptia beyonceae)나, 유명 배우 안
젤리
나 졸리와 이름이 같은 거미(Aptostichus angelinajolieae)도 있답니다.물체의 이름을 따와 생김새와 특징을 단번에 나타낸 학명도 있어요. 단세포 동물인 Kamera lens (카메라 렌즈)가 대표적인 예지요. 마치 렌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바닥과 장애물 사이를 유연하게 지나가는 동영상이 공개되면서 화제가 됐지요. 하얀
젤리
처럼 말랑말랑한 이 로봇은 불가사리 모양을 닮아 ‘불가사리 로봇’으로 불려요. 연구팀은 불가사리는 물론 문어의 움직임까지 분석해 이 로봇에 적용했답니다.연구팀은 일단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을 ... ...
과학과 요리의 만남 분자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뒤 온도를 85℃ 이상으로 높이면 녹는 답니다. 그리고 다시 32~40℃ 정도로 온도를 낮추면
젤리
형태로 굳지요.준비물 : 한천, 우유, 프라이팬 바삭하고 부드러운 수비드 요리망고 우유맛 계란 프라이를 맛본 명예 기자들은 이제 앞서 준비해 둔 닭고기를 확인하러 갔어요.“어? 따뜻하게 익힌 고기를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4℃에서 뇌에 투명한 하이드로겔 용액을 넣었어요. 하이드로겔은 온도가 높아지면
젤리
처럼 말랑말랑하게 굳어요. 이렇게 굳으면서 뇌에 있는 신경세포들이 제 위치에 있도록 고정시켜 주지요. 그 다음 전류를 흘려 뇌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지방질을 녹여요. 그러면 뒤에 있는 글자가 훤히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너무 작으면 캐비어가 요리 위에서 너무 가볍게 굴러다닐 위험이 있고, 점성이 너무 크면
젤리
처럼 상큼한 느낌을 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캐비어의 점성은 겔과 그 안에 든 액체의 밀도차와 캐비어의 부피가 클수록 크다. 반대로 캐비어를 만들 때 알긴산나트륨을 섞은 액체를 칼슘 용액에 ... ...
SHAKE 웃음이 나는 개들의 굴욕 순간 힘차게 흔들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침이 사방으로 날리고, 턱살은
젤리
처럼 늘어지고 눈알이 뛰어나올 듯해요. 귀여운 개들의 굴욕사진이네요. 도대체 뭘 하고 있는 거냐고요? 바로 몸을 털고 있답니다. 개들은 젖으면 몸을 힘차게 털어서 탈수기처럼 물을 털어 내요. 몸을 털어내는 시간은 1~2초 정도로 아주 짧아서, 그 순간에 개들이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과립들이 짓눌리고 막이 터지면서 안에 있던 내용물들이 흘러나와 졸(sol)상태로 변했어.
젤리
처럼 말랑말랑한 고체 형태였던 젤 과립이 액체 형태인 졸 상태로 변하면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성질이 생긴 거지. 이렇게 졸 상태로 변한 과립들 때문에 바닥에서 훨씬 잘 미끄러지게 된 거야. 마치 스키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