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곳은 식물이 뿌리를 내려 암반이 약해진 곳이다. 초분광 카메라는 암질도 최고 11가지로
구분
해낼 수 있어 지질조사에도 유용하게 쓰인다.그런데 이 중요한 촬영은 정작 2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이걸 하자고 장장 5시간 반 배를 타고(왕복 11시간!), 1kW 배터리로 카메라를 충전하고, 대여섯 개나 되는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순은 점액질로 덮여 있어 끈적거리거든요.이제 진달래속 나무를 보면 어떤 종인지 바로
구분
해 보세요. 그리고 반드시 안전한 진달래만 식용으로 이용하세요~. 진달래에게는 같은 과에 속하는 친척들도 많아요. 진달래의 변종인 털진달래는 어린 가지와 잎에 털이 있고, 고도가 조금 높은 지역에서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여러 개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여러 명의 시체가 섞인 경우 각 개체를
구분
하지 않고 다음 단계의 분석을 진행한다면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법의인류학자가 우리 몸에 있는 206개의 뼈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다. 머리뼈와 치아로 인종을 ... ...
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현실과 가상을
구분
할 수 있다. 앞으로 우리에게도 영화 ‘인셉션’처럼 현실과 가상을
구분
할 수 있는 물건이 필요할지도 모른다.우리가 현실 세계로 믿고 있는 이 세상이 진짜 현실 세계일까? 종종 가상현실은 진짜 현실보다 더 현실처럼 느껴진다. 현실보다 사람이 창조한 가상의 세계에서 더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6번은 기능으로
구분
됐고, 배쪽 연결로인 4번과 전두부 피질 아래쪽인 18번은 위치로
구분
됐죠. 이를 토대로 오른쪽과 같은 1차 지도가 만들어졌습니다.하지만 앞서 말했듯 하나의 영역은 동시에 여러 기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 영역에 22가지 색 중 적게는 두 개에서 많게는 네 개까지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작동할 수 있지요. 특히 LED 전구의 경우, 두 다리의 길이를 다르게 만드는 것으로 양극을
구분
해 놓았어요. 긴 다리는 (+)극에, 짧은 다리는 (-)극에 연결해야 LED가 빛을 낼 수 있답니다.소금물을 넣은 밀가루 반죽과 마찬가지로 컬러점토 역시 전기가 통해요. 컬러점토 안에도 전해질 성분이 들어 있기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육면체 = 구’공간의 연결 구조를 연구하는 위상공간에서는 구멍의 개수로만 물체를
구분
한다. 구멍을 뚫지만 않으면 찌그러뜨리거나 늘려도 같은 물체다. 그래서 위상공간에서 구멍이 하나인 머그잔과 도넛은 같은 물체가 된다. 같은 이유로 구멍이 없는 정육면체와 구도 위상적으로 같다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아파트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선택한다.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은 방마다
구분
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간에 콘크리트 벽이 있어도 전혀 어색하지 않아서다. 반면 사무실 임대를 목적으로 한 건물은 철골조 건물이 많다. 사무실은 벽이 많이 필요 없고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면 구조물의 덩치가 ... ...
[과학뉴스] “또렷하게 보려고” 눈 굴리는 갯가재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색으로 세상을 인지하는 등 사람과 다른 시각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수중에서 사물을
구분
해야하는 로봇을 제작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2일자에 실렸다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다르기 때문이다. 색상을 구별하는 원추세포는 노란색이나 초록색 계열을 민감하게
구분
한다. 하지만 명암을 구별하는 간상세포는 파란색 파장의 빛에 훨씬 더 예민하다. 그래서 어두컴컴한 곳에서는 파란색 계통인 사물을 알아보기가 더 쉽다. 즉 어둡고 음침한 곳에서는 파란빛이 서린 것처럼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