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장비와 이미지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이제는 Cryo-EM으로도 4Å(옹스트롬, 0.1nm)까지 구분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Cryo-EM으로 지카바이러스의 구조를 알아낸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와 ‘네이처’의 온라인판에 각각 3월31일과 4월 19일에 발표됐다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원자핵과 충돌한다. 원자의 종류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의 수에 따라 구분되는데, 이 충돌로 원자핵이 분열하면서 여러 종류의 새로운 원자핵이 만들어진다. 충돌하는 원자핵의 조합에 따라 생성되는 원자핵도 다양해진다. 여기서 새로운 원소가 만들어질 수도 있고, 핵 내부의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때마다 윤정은 은성에 대한 몽상 속으로 도피했다. 그러는 동안 추억충이 가져온 기억을 구분하고 정리하는 작업은 꾸준히 계속 되었다. 화요일 아침에 최종 원고를 보낸 윤정은 서비스 회사에서 온 도우미에게 지호를 맡기고 근처 커피빈으로 도피했다. 에스프레소와 머핀을 하나씩 시켜놓고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표현한다고 해보자. 이 문장을 주어, 목적어, 서술어, 형용사, 부사 등의 문장 성분으로 구분해, 이것을 행렬의 행의 성분으로 본다. 각 개수를 열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외에도 문장의 다른 특징으로 행렬을 구성할 수도 있다. 특징이 많으면 오른쪽으로 긴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찾는 식이다.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크게 의약품, 농업용, 산업용으로 구분된다. 의약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약사법으로, 농약과 비료는 농림수산식품부에서 농약관리법과 비료관리법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 반면 산업용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적용해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논란이 많았다. 중국에서 넘어오는 물질과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을 구분하기 어려워서였다. 차 연구관은 “그동안 한반도 주변 해상에서 황사나 미세먼지의 양을 관측한 적이 거의 없었다”며 “중국에서 넘어오는 양을 파악하는 데 서해상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nerve ending)이죠. 그런데 최근 들어 이 자유신경말단이 다시 가려움 신경과 통각 신경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오우택 서울대 약대 교수는 “통각의 말초신경과 가려움 말초신경이 형태는 유사하지만 세포막의 구성성분이 다르다”며 “통각이 약하다고 해서 가려움을 느끼는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위상적 데이터 분석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뇌 영상을 구분해냈다. 그동안은 부모나 교사가 관찰한 내용과 설문지 등의 방법에만 의존했었다.김 교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연구에 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위상적 데이터 분석을 처음으로 적용한 ... ...
- [수학동아클리닉] 단위로 알아보는 겉넓이와 부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학생들은 직육면체의 겉넓이와 부피를 많이 헷갈려 합니다. 그러지 않게 하려면 겉넓이와 부피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육면체의 ... 겉넓이고, 과자상자 안을 물로 빈틈없이 채우는 건 부피라고 알려주면 학생들이 겉넓이와 부피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수학동아 l2016년 05호
- 13일의 금요일이 특별한지 검증하기 전에 ‘역법’을 알아야 한다. 역법은 시간을 구분하고 날짜의 순서를 매겨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달력 보는 법이다. 주로 천체 움직임의 주기를 기준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우리나라와 미국, 유럽의 많은 국가가 태양의 운행을 기준으로 만든 태양력을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