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조울증은 ‘감정 이상’에 속하죠.”이 관장은 정신질환을 증상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했다. 그리고 전시된 작품에서 그들이 가진 질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생각 이상에 속하는 환자들이 만든 작품은 무언가를 설명하거나 이야기를 전개하려 한다. 반면 감정 이상에 ... ...
- 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부검한 익사체 323구 중 무려 132구(41%)가 자살인지 타살인지, 사고사인지 구분할 수 없는 죽음이었다. 수중시체는 다른 변사체에 비해 신원과 사인을 밝히기가 유독 어렵다. 그동안 물속은 과학수사의 영향력이 닿지 않는 오지였다. 최근 이 철옹성에 균열이 생겼다. 물에서 증거를 찾는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방법을 쓴다. 하지만 규조류라고 무적은 아니다. 강산에 미세구조가 파괴돼 종을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수도 대폭 줄어든다.이 방법이 문제인 까닭은 플랑크톤의 종이 수중시체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플랑크톤은 수심과 지역, 계절에 따라 우점종이 달라진다. 수중시체가 언제, 어느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기가 점점 커졌겠죠. 그 기술이 해방이후 우리나라에 전해진 거고요.좀더 쉽게 간장을 구분할 순 없을까양조간장은 메주를 이용한 발효 과정을 본딴 것이라 전통간장에 좀더 가깝다고 볼 수 있어요. 또 양조간장이 산분해간장보다는 거부감이 없고, 발암물질 논란에서도 자유로운 편이에요. ...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SIR-네트워크 모형’에 적용한 것입니다.SIR-네트워크 모형은 전체 인구를 S, I, R로 구분한 뒤 전염병이 퍼지는 현상을 분석하는 가장 기초적인모델입니다. S는 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사람, I는 병에 걸린 사람, R은 병에 대한 면역이 있는 사람을뜻합니다.연구 결과 뎅기열바이러스는 감염률이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거예요!이번에는 또 다른 애너모포시스를 소개할게요. 거울을 쓰는 애너모포시스와 구분해 ‘기하학적 애너모포시스’라고 부르는 기법을 알려드리죠.이 기법을 쓰면 작가가 의도한 특정한 위치에서만 숨어 있는 그림을 제대로 볼 수 있어요. 작가가 의도한 위치 밖에서는 진짜 그림이 보이지 않기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뒤져보니 익사체의 장기에서 플랑크톤이 발견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비익사체와 구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플랑크톤을 장기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강산이 여러 부작용을 일으켜 검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3파트 참조). 김 교수는 강산을 대체할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유지해주는 가슴팍의 부드러운 털로, 가슴이 아닌 다른 부위에 나는 길쭉한 깃털과 구분된다. 패딩점퍼 안에는 보통 솜털과 깃털이 섞여 들어가는데, 솜털 함량이 75% 이상인 것만 다운 제품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천연 다운이 가볍고도 따뜻한 이유는 솜털의 구조에 있다. 홍수옥 한국의류시험연구원 ... ...
- 물고기 떼를 흉내 내는 수학모형… 현재 수준은?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거의 비슷하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실험 참가자들은 실제 물고기 떼를 쉽게 구분했습니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가상 물고기 떼가 실제보다 부자연스럽게 움직인다고 말했습니다. 현재의 기술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다는 의미입니다.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학회 로얄소사이어티에서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검출기에서 어떤 신호를 내는지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암흑물질이 내는 신호와 구분할 수 있다. 강 연구위원은 “오직 중력하고만 상호작용하는 윔프는 1년에 한두 번 정도 물질의 원자핵과 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암흑물질이 검출기 내의 원자핵과 충돌할 때 나오는 미약한 빛 신호를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