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고당질식을 섭취한 ‘고당질군’, 그리고 수분을 중심으로 섭취한 ‘수분보충군’으로 구분했죠. 그리고 섭취 후 1시간과 2시간 뒤에 체성분, 근력, 혈액성분 등을 측정했습니다. 계체 후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여러 요소가 증진됐는데,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수분섭취에 따른 변화였습니다.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안하는지를 알 수 있을까? KAIST 이지운 교수가 연구하는 ‘랜덤행렬이론’을 이용하면 구분할 수 있다. 이 교수는 국내 몇 안 되는 수리물리학자로, 인터뷰 내내 싱글벙글 웃는 모습으로 자신의 연구를 소개했다. 세상에는 재미있는 것이 너무 많아 한 가지에만 몰두할 수 없다는 이 교수를 먼지 한 톨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런 현상을 양자화됐다고 부릅니다. 운동량이 가장 낮은 상태부터 차례로 숫자를 붙여 구분하는데, 이 숫자를 양자수라고 합니다.양자화는 힐베르트 호텔과 구조가 비슷합니다. 호텔에 자연수로 이름이 붙은 객실이 있는 것처럼, 양자역학에는 정수로 된 양자수가 있습니다. 손님이 그 방에서 묵는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진에서 전혀 기대 못했던 것이 나타났다. 박 속에서 단순히 박의 과육 이외에 선명히 구분되는 다른 인위적인 구조물이 보였던 것이다. 아직 박이 커지기 전이었기 때문에 정확히 무엇인지는 알기 어려웠지만, 박이라는 식물과는 완전히 다른 엉뚱한 물체가 박 안에 들어 있는 것 같았다.“이게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표층 해류와 수심 200m 아래의 심층 해류, 이렇게 두 가지로 구분돼요. 그리고 해양쓰레기 대부분은 물위에 뜨기 때문에 표층 해류를 따라 이동하지요.태평양의 경우 미주대륙 주변의 해류가 원을 그리듯 모여요. 그래서 쓰레기도 점점 이곳으로 모여 쌓이게 되는데, 그 결과 ...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말했다. 네 가지 염기(A, G, C, T)의 배열로 이뤄진 사람의 유전체 정보는 화학반응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기계가 이 반응을 측정하면 각 염기서열 화학반응은 서로 다른 형태의 이미지로 기록되는데 한번 실행 할때마다 이 데이터 용량이 무려 1TB(테라바이트)에 이른다. 이 이미지 정보를 다시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좀 태워줘(I need a ride)’와 ‘나는 당나귀 타는 걸 좋아해(I like to ride donkeys)’의 차이를 구분해 ‘나 좀 태워줘’라는 메시지에 ‘탈 것 요청’이라는 꼬리표를 달았다.개발팀은 딥텍스트를 통해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에서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내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번째 실험에서도 18개의 얼굴 중에서 학습한 얼굴을 86% 정확도로 골랐다.사람의 얼굴을 구분하는 것은 고도의 능력이다. 눈, 코, 입 등 생김새의 미묘한 차이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런 능력이 복잡하고 큰 뇌를 가진 영장류에게만 있으며,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뼈에 남은 훼손 흔적을 통해 동물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훼손한 동물의 종을 구분하려는 시도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모든 노력에 힘입어 법의인류학자는 사람에 의한 손상과 동물에 의한 손상을 분간해낼 수 있다.우리나라에서 백골 상태로 발견되는 변사자의 수가 1년에 100명이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때 부모님의 말에 귀를 기울이곤 합니다. 하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구분할 때는 스스로 본인의 흥미를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자신의 호기심에 귀를 기울여 진로를 결정하세요.”치에하노베르 교수가 인터뷰 막바지에 했던 말도 비슷했다. “(인터뷰 도중 통역을 도운 권용태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