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DNA 검사를 하기 난감한 상황 중 하나다. 신원 확인을 하려면 먼저 한 명 한 명 개체를 구분해야 하는데 모든 뼈에 대해 DNA 검사를 하자면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다. 어른은 206개의 뼈와 32개의 치아를 갖고 있다. 유해가 두 구만 섞여 있어도 최소 500번 이상의 DNA 검사를 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류세’라고 부르자는 거예요.인류세는 아직 공식적인 분류가 아니라서 정확한 연도 구분은 없어요.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가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부터라는 의견도 있고, 원자폭탄 실험이 있었던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세라는 의견도 있지요. 인류세의 지표로는 땅 속에 묻힌 ... ...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결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진거죠. 도브시 교수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만들어 이 둘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이 새로운 방법은 앞으로 더욱 정교한 복원 작업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부르자는 거예요. 인류세는 아직 공식적인 분류가 아니라서 정확한 연도 구분은 없어요.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가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부터라는 의견도 있고, 원자폭탄 실험이 있었던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세라는 의견도 있지요. 인류세의 지표로는 땅 속에 묻힌 플라스틱, 살충제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서는 한 파장의 빛을 강력하게 내뿜어 좀 더 정밀하다. 약 2μm(100만분의 1m) 크기의 물체를 구분해낼 수 있다.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40분의 1 수준이다.4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빛은 바로 이전의 3세대보다도 1억 배나 밝고, 햇빛보다도 100경 배 밝다. 파장의 폭도 짧아서 나노미터 단위(10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또 괄호를 이용해 하나의 명령을 다른 명령과 구분하는 C언어와 달리,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덩어리를 나누어요. 이러면 코드만 봐도 명령 덩어리가 몇 개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파이썬은 아직 C언어보다 사용하는 곳은 적지만,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널리 ... ...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너구리와 겉모습이 닮아 우리말 이름에도 너구리가 들어가지만, 라쿤과 너구리는 쉽게 구분할 수 있답니다. 꼬리에 줄무늬가 있으면 라쿤, 줄무늬가 없으면 너구리지요.라쿤의 몸길이는 60~110cm 정도이며 견과류, 옥수수, 물고기, 작은 설치류 등 여러 가지 먹이를 다양하게 먹어요. 환경에 대한 ... ...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면 자료를 수집해 분류, 분석해야 합니다. 자료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은 통계에 꼭 필요합니다.전체 자료가 너무 많아 수로 나타내는 것이 번거로울 때는 전체에 대한 비율로 자료를 나타내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에 대한 부분의 양의 비율을 구하고, 이것을 그래프로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큰 비중을 차지했다.산 봉우리의 관측 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표성은 갖추고 있지만, 종의 구분이 없는 것이 문제다. 단풍나무나 은행나무조차 분류하지 않고 관측한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나무 종별로 군락을 이루게 한 뒤 군락 전체의 단풍 현상을 관측한다. 미국의 하버드 삼림’이 대표적이다.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정보통신공학 전공 E 교수는 한국의 연구비 지원사업에서 연구 성과를 성공과 실패로 구분하는 점에 놀랐다. 과제 수행 기간이 끝나면 연구 결과를 평가하는데, C~D등급을 받으면 상세 평가를 실시한다. 그리고 성실히 연구를 수행했다고 판단되면 ‘성실 실패’로 인정한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