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다시 격자로 아주 작게 자르지요. 이때 격자 한 칸 안의 색이 진하면 1, 밝으면 0으로
구분
해 컴퓨터 데이터로 바꿔요. 이렇게 저장된 자료와 비교하면 본인이 맞는지 확인하는 원리랍니다.홍채 인식 기술은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 중 가장 정확도가 높지만 단점도 있어요. 최근에는 패션의 일부로 ... ...
[과학뉴스] 펼치지 않아도 책을 읽을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분석했어요. 그렇게 종이의 두께와 책장 사이의 간격을 알아내 9장에 적힌 글자들을 각각
구분
할 수 있답니다. 헤쉬마트 박사는 “손상된 고문서를 복원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밝혔어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아쿠아플라넷63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위해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라고 해요.아쿠아리스트는 수달의 젖꼭지와 생식기로 암수를
구분
하는 방법도 알려주었어요. 또 수달 꼬리 밑에 있는 사향샘이라는 기관 때문에 수족관 안의 냄새가 지독하다는 비밀도 폭로했답니다. 다양한 수중생물 친구들이 모여 사는 세상 수달 행성을 지나 한 층을 ... ...
[요리교실] 대하로 즐기는 스페인 요리 '대하 까수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해 뼈 건강과 피로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자연산과 양식을
구분
할 땐 뿔이나 수염을 보면 된다. 뿔이 머리보다 밖으로 길게 나오고, 수염의 길이가 자신의 몸보다 두 배 이상 길면 자연산 대하다. 반면 뿔이나 수염이 비교적 짧고 꼬리가 분홍색을 띠면 양식이다 ... ...
[한자 과학풀이] 면역(免疫)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등 주로 질병과 관련된 글자에 쓰인답니다.반면 옛날에는 질병의 정도에 따라 두 글자를
구분
해서 썼어요. ‘질(疾)’은 사람의 몸에 화살(矢‧시)이 박힌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일반적인 병을 나타낼 때 썼지요.‘병(病)’은 질병 중에서도 중증일 정도로 심한 경우에 사용됐어요. 병들어 누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예를 들어 달콤한 사이다는 시지 않지만 산성이지요.따라서 산성과 염기성 용액을
구분
하기 위해서는 산염기 지시약이 필요해요. 산염기 지시약에는 용액이 띠는 성질에 따라 다른 색을 띠는 물질이 들어 있어요.산염기 지시약의 종류는 다양해요. 그 중에서도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자주색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영상으로 찍은 뒤, 미리 저장해놓은 여러 물체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물체인지를
구분
하지요. 마지막으로 GPS는 지구 밖에 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자동차의 위치와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 준답니다.[▲레이더가 주변 사물을 빠르게 인식해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레이더와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전기 에너지를 전달해야 할 때 주로 사용된답니다.회로를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
할 수도 있어요. 직렬 회로는 회로에 들어가는 부품을 일렬로 나열해서 만들어요. 하나의 건전지 뒤에 다른 건전지를 줄줄이 연결한 것이 대표적이죠. 한편 병렬 회로는 여러 개의 부품을 나란히 배열하는 것을 ... ...
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있지.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흰 몰티즈는 사람이 만든 종?현재 개는 700~800여 종으로
구분
돼요. 포유류 중 가장 많은 종을 가진 동물이지요. 그 이유는 300여 년 전부터 사람들이 좋아하는 특정 형질이 나타나도록 교배시켜 왔기 때문이랍니다.대표적인 종은 ‘휘핏’이에요. 100여 년 전 토끼를 잡는 ...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가장 큰 이등변삼각형의 빗변은 2, 밑변은 약 2.83이에요.그런데 우리 눈은 이 둘의 차이를
구분
하기 힘들어요. 그래서 작은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툭 튀어나온 부분을 만든 왼쪽과, 큰 직각이등변삼각형 두 개를 붙여 만든 오른쪽을 ‘같다’고 생각한답니다. 이처럼 변의 길이가 일으키는 착시를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