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살아온 환경 탓이라고 해석했습니다. 포식자가 많은 환경에서 자란 구피는 물고기 수를 구분하는 능력이 높다는 겁니다.이 결과는 동물은 상황에 따라 인지 기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를 따릅니다.연구는 ‘행동생태학과 사회생물학’ 1월호에 실렸습니다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게임’이라고 해요. 플레이어가 게임 화면을 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슈팅 게임을 구분하기도 하는데, 특히 1인칭 시점으로 진행하는 게임을 ‘일인칭 슈팅 게임(FPS)’이라고 하지요.슈팅 게임의 역사는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하는데요. 빼놓을 수 없는 컴퓨터가 1959년 미국의 컴퓨터 회사 디지털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AI는 사람에게도 전염돼 사망자가 나왔다. ()AI는 표면단백질이 가진 성질에 따라 종류를 구분하는데 이번에 확인된 것은 H5N6형과 H5N8형이다. 이전에 국내에서 발생한 AI는 H5N1형과 H5N8형으로, 사람을 감염시킨 사례는 아직 없었다. 물론, 사람 간 전파 사례도 보고되지 않았다.전문가들은 이번에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다. 특히 시간이 흐를수록 경상도와 전라도의 성씨 구성은 오히려 더 뚜렷하게 구분된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정치, 문화적 요소가 인구 혼합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독립적으로 고유한 성씨 구성을 보이는 곳으로는 제주도(핑크색)와 강원도 남부(보라색), 안동(파란색), 성주(하늘색)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보호구를 입었지요. 이런 화려한 군복은 대규모 전투 속에서 적군과 아군을 명확히 구분하는 동시에 군인의 용맹스러움을 나타냈어요.그러다가 19세기부터 영국군은 적군의 눈에 쉽게 띄는 흰색 군복에 흙먼지를 묻혀 위장하기 시작했어요. 이후 ‘카키’색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군복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저(著)는 ‘나타나다’와 ‘붙다’라는 두 개의 뜻을 갖고 있었는데, 약 1000년 전에 둘을 구분하기 위해 착(着)이라는한자가 만들어졌죠.착(着)은 ‘양 양(羊)’과 ‘눈 목(目)’이 합쳐져 만들어졌어요. 양들은 날씨가 추워지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붙어서 지내요. 이렇게 양들이 서로 ...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생물인 ‘오파비니아’, 몸이 납작한 판과 가시로 덮인 ‘위왁시아’, 위 아래 앞 뒤 구분이 가지 않아 환각을 불러일으키는 생물 ‘할루키게니아’ 등이 대표적이지요. 심지어 인류를 포함한 척추동물의 조상이라 할 수 있는 척삭동물 ‘피카이아’도 이 시기에 등장했답니다.1989년 고생물학자인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위해 사람들의 걸음걸이 정보를 모으고 있어요. 그리고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있지요. 반상우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그동안 걸음걸이는 질병이 있거나 걸음걸이가 아주 독특할 때만 활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일반적인 신체 특징에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형태를 궁상문, 와상문, 제상문 이렇게 3가지 기본 패턴으로 나누고, 이를 이용해 지문을 구분하는 방법을 개발했답니다.1980년대에 들어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지문인식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했어요. 수많은 사람들의 지문 정보를 저장했고, 이 정보를 이용해 범인을 잡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지요. 또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다시 격자로 아주 작게 자르지요. 이때 격자 한 칸 안의 색이 진하면 1, 밝으면 0으로 구분해 컴퓨터 데이터로 바꿔요. 이렇게 저장된 자료와 비교하면 본인이 맞는지 확인하는 원리랍니다.홍채 인식 기술은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 중 가장 정확도가 높지만 단점도 있어요. 최근에는 패션의 일부로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