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후각수용체의 조합을 통해 맡을 수 있는 냄새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사람이 구분하는 냄새의 수는 약 1만 가지다.맥건 교수는 후각수용체의 수보다 오히려 각 후각신경구에 있는 신경세포의 개수를 비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2014년 ‘신경해부학 저널(doi:10.3389/fnana.2014.00023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발견된 ... ...
- [과학뉴스] 미어캣의 사향 냄새는 박테리아 작품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독특한 사향 냄새를 풍긴다. 미어캣들은 이런 냄새 물질로 영역을 표시하고 서로를 구분한다. 냄새가 일종의 명함인 셈이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사라 레클레어 연구원과 미국 듀크대 진화인류학과 크리스틴 드레아 교수팀은 미어캣이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 이유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환자 91명의 기침 소리를 분석한 결과, 94%의 민감도로 다른 질병으로 인한 기침과 폐렴을 구분할 수 있었다(doi:10.1007/s10439-013-0836-0).2012년 미국 워싱턴대 유비콤프랩이 개발한 ‘스피로 스마트’는 폐활량을 측정하는 앱이다. 병원에 있는 폐활량측정기는 환자가 얼마나 많은 양의 공기를 얼마나 ... ...
-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 上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유저와 게임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액션과 플랫포머, 퍼즐, 슈팅 게임 등으로 장르를 구분해요. 따라서 게임의 장르가 액션일 수는 있어도 코미디일 수는 없어요. 그렇다면 조작 방식 자체가 매우 허술하다는 뜻이 될 테니까요.런 게임의 장르는 ‘플랫포머(Platformer)’예요. 흔히 ‘플랫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된 숫자열을 생각하고 있었다.‘이진수일까?’그러면 터무니없이 큰 수가 나왔다.‘/로 구분한 게 각각 수 하나씩일까?’그렇게 해서 10진수로 변환하면 76, 165, 50, 148, 6이 나왔다. 아무리 조합해도 어딘가에 연락할 만한 숫자가 나오지 않았다. 전화번호도 아니었다. 골똘히 암호를 생각하다 보니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부르며,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성 면역과 살면서 획득한 후천성 면역으로 구분한다.생명체는 외부에서 온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병원성 단백질을 감지하는 수용체를 저마다 가지고 있다. 초파리의 ‘톨유사수용체(TLR)’가 대표적이다. 브루스 보이틀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 ... ...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속 이온 빔을 통해 이뤄졌고, 0.1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수준의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성능(분해능)을 갖추고 있었다.문 교수는 “현재는 조직을 열로 태울 때 나오는 연기를 빨아들여 질량분석을 하고 있다”며 “이 방식은 조직이 차지하는 공간정보도 알 수 없고 원래의 물질이 타면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물 화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관이에요. 자연사관은 크게 5개 ‘존(Zone)’으로 구분돼 있어요. 5개 존은 ‘한반도 탄생’, ‘적도에 흩어져 있던 한반도’, ‘세 땅덩어리가 부딪쳐 만들어진 한반도’, ‘호랑이 모양의 한반도 완성’, ‘한반도 생물의 다양성’ 등 시간 흐름에 따라 구성돼 ... ...
- [과학뉴스] 색 분류 능력은 타고나는 것?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심리학과 안나 프랭클린 교수팀은 4~6개월 된 아기 179명을 대상으로 색상을 얼마나 구분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연구팀은 아기의 눈앞에 두 개의 스크린을 놓고 스크린에 동일한 색상을 반복적으로 띄웠다. 그러다가 스크린에 서로 다른 색상을 띄웠을 때 아기가 두 색깔을 얼마나 다르게 느끼는지,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