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발견된 ... ...
- [과학뉴스] 판다의 털이 흰색과 검은색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흰색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판다의 몸 색깔은 다른 포유류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특징이에요.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와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롱비치 캠퍼스 공동 연구팀은 판다의 털 색깔에 대한 비밀을 밝혀냈어요.연구팀은 판다의 몸 색깔을 부위별로 나눠 각 부분을 19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환자 91명의 기침 소리를 분석한 결과, 94%의 민감도로 다른 질병으로 인한 기침과 폐렴을 구분할 수 있었다(doi:10.1007/s10439-013-0836-0).2012년 미국 워싱턴대 유비콤프랩이 개발한 ‘스피로 스마트’는 폐활량을 측정하는 앱이다. 병원에 있는 폐활량측정기는 환자가 얼마나 많은 양의 공기를 얼마나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전통 도자기 유약은 크게 고려시대의 청자와 조선시대의 백자 유약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하지만 고려청자의 비취빛과 조선백자의 우윳빛이 도는 백색은 현대 기술로 재현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황 교수가 그 이유를 기후와 식생 변화 때문이라고 설명하자 의아했다. 도자기의 소지나 유약을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확실한 효과 및 안전성을 동일한 임상 상황에서 검증하는 핵심 시험인 3상 시험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백신 개발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와 같이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면, 백신은 위와 같은 단계를 모두 거쳐야 실제 접종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단계를 거친 뒤에도 백신의 부작용을 항상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먼저 ‘할리갈리’를 외치는 사람이 카드를 가져갔어요. 그런데 누가 먼저 외쳤는지 구분이 잘 안 됐지요. 한번은 동전을 두고 해봤어요. 이전보다 사람들의 반응이 좋아졌죠. 그 순간 방에서 조카가 삑삑거리는 소리가 나는 오리 인형을 가지고 나오더라고요. 이번에는 조카의 오리 인형을 동전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술이었습니다.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육류에 들어 있는 고유의 단백질 아미노산을 구분해 내는데, 들어 있으면 안 되는 고기가 0.1%만 섞여도 바로 알 수 있다고 해요.10월에 대형 과학축제 열려QIB가 위치한 노리치 리서치 파크는 노리치 시내에서 약간 벗어나 있습니다. 차로 15분 거리인데, 평범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물 화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관이에요. 자연사관은 크게 5개 ‘존(Zone)’으로 구분돼 있어요. 5개 존은 ‘한반도 탄생’, ‘적도에 흩어져 있던 한반도’, ‘세 땅덩어리가 부딪쳐 만들어진 한반도’, ‘호랑이 모양의 한반도 완성’, ‘한반도 생물의 다양성’ 등 시간 흐름에 따라 구성돼 ... ...
- [과학뉴스] 색 분류 능력은 타고나는 것?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심리학과 안나 프랭클린 교수팀은 4~6개월 된 아기 179명을 대상으로 색상을 얼마나 구분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연구팀은 아기의 눈앞에 두 개의 스크린을 놓고 스크린에 동일한 색상을 반복적으로 띄웠다. 그러다가 스크린에 서로 다른 색상을 띄웠을 때 아기가 두 색깔을 얼마나 다르게 느끼는지, ... ...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속 이온 빔을 통해 이뤄졌고, 0.1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수준의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성능(분해능)을 갖추고 있었다.문 교수는 “현재는 조직을 열로 태울 때 나오는 연기를 빨아들여 질량분석을 하고 있다”며 “이 방식은 조직이 차지하는 공간정보도 알 수 없고 원래의 물질이 타면서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