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학계에서는 ‘세포 하나가 얼굴 하나를 구분한다’는 학설을 가장 신빙성 있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이 세포가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다. 미국의 유명 시트콤 ‘프렌즈’에 출연하며 스타덤에 오른 할리우드 배우 제니퍼 애니스톤의 이름을 땄다. 20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 개 이상, 거의 무한하게 외울 수 있다. 인간의 뇌가 알아채지 못하는 미세한 특징까지 구분하기 때문이다. 딥미러의 성능이 궁금해졌다. 딥미러에게 기자의 이름을 알려준 뒤 카메라에 얼굴을 가까이 댔다. “이정아, 94%”라고 뜬다. 윤 책임연구원은 “70% 이상이면 본인으로 인식한다”며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 이화학연구소의 연구 조직은 크게 연구실(lab)과 센터로 나뉜다. 연구 성격으로 구분하자면 연구실은 기초연구에, 센터는 기초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킨 응용연구에 치중하는 편이다. 규모에서도 차이가 있다. 연구실은 이화학연구소에서 과학자로는 가장 높은 직책인 종신 주임연구원(Chief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추측되고 있어요. 표면이 매끈매끈하다면 위석!그렇다면, 위석과 일반 돌은 어떻게 구분 할까요? 최소한 세 가지 조건이 다 맞아야 ‘위석’으로 판정할 수 있답니다.첫 번째로는 용각류 공룡의 골격화석과 가까이에서 발견되어야 해요. 왜냐하면 위석은 용각류의 뱃속에 있었던 돌이기 때문에,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제임스 히스콧 박사는 해부학상을 받았다. 일란성 쌍둥이가 멀리서도 각자의 사진을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낸 마테오 마티니 영국 이스트런던대 교수팀은 인지(cognition)상을 받았다. 이 밖에도 길이 1m가 넘는 악어를 접촉하면 도박 욕구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낸 매튜 록로프 호주 CQ대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악몽을 꾸었다.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사고의 기억이 꿈속에서 되살아났다. 바다와 구분되지 않는 하늘, 안개 자욱한 길, 줄지어 선 자동차, 옆으로 번지는 것 같은 후미등의 붉은 조명, 그리고 갑자기 모든 것이 엉망진창으로 흔들리고 솟구친다……. “안색이 안 좋으신데요, 교수님. 우주멀미 ... ...
- [과학뉴스] 큰곰은 발로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진 큰곰은 넓은 지역에서 혼자 살아가는 동물이에요. 이런 큰곰이 다른 곰과 영역을 구분하고 짝을 찾기 위해서는 특별한 의사소통 수단이 필요해요. 최근 폴란드와 스페인, 오스트리아 공동 연구팀은 큰곰이 발에 있는 샘에서 화학물질을 분비해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용해 전자현미경 사진을 찍으면 매우 흐릿하게 나와서 결과적으로 생체 분자와 배경을 구분하기 어려워서였다. 프랑크 교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사한 입자들의 패턴을 같은 그룹으로 분류한 뒤 평균화시키는 방법에 몰두했다. 유사한 패턴을 같은 방향에서 찍은 사진으로 보고 마치 흐릿한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제임스 스미스슨의 이름을 딴 것이다. 능아연석은 1832년 이극석(異極石)이라는 광물과 구분되기 전까지는 ‘이극광’으로 불렸는데, 1802년에 이극광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바로 스미스슨이다. 스미스소니언 박물관과 능아연석스미스슨은 프랑스 태생이지만 국적은 아버지의 나라인 영국이다.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않는 ‘허상’이라는 점을 서서히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실제와 허상을 구분하는 일만으로도 마음과 정신이 치유된다. 더 나아가 명상을 통해 사건 사고를 겪기 전보다 정신이 훨씬 건강하고 단단해질 수 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공포라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사건을 보는 관점이나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