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묻어야 할까?방사성 폐기물은 방사선 준위에 따라 고준위, 중준위, 저준위, 극저준위로 구분한다. 대부분은 극저준위에 속한다. 극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방사선 준위는 일반 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는 핵종별 허용농도보다 100배 미만이다.방사성 폐기물은 드럼에 넣고 밀봉한다. 국내 원전을 해체할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 교수는 “후속 연구로 상염색체 STR이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해 민족을 구분하는 예측력을 높여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최근에는 놀랍게도 얼굴의 생김새까지도 추정할 수 있는데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에라스무스대 맨프레드 카이저 교수는 5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얼굴의 ...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30배나 정밀한 지도가 만들어졌어요. 지진 피해 정도가 심각한 곳과 양호한 곳을 구분해서 보여 주기 때문에 신속하게 복구가 이뤄지는 데 큰 도움이 됐지요.네팔에 드론을 날린 건 놀랍게도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이 팀을 이룬 ‘엔젤스윙’이에요. 2015년 네팔 대지진 당시 서울대학교에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달리 관객과 시청자의 평가로만 우승자를 가리기 때문에 관객과 시청자가 뛰어난 래퍼를 구분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춰야 한다. 화려한 비트와 조명뿐 아니라 래퍼가 만든 라임에 주목해 ‘위대한 관객’이 돼보자.랩 가사를 추천해 주는 딥비트랩 가사를 쓰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라임을 맞추기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대측정법을 이용해서 확인한다. 임 책임연구원은 “오늘 찾은 퇴적층은 층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지만 나이테처럼 뚜렷한 퇴적층도 있다”며 “그런 퇴적층은 mm, μm 단위까지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널오름 정상부 습지를 시추해서 채집한 퇴적층. ▶고기후의 흔적을 간직한 ... ...
- [과학뉴스] 미어캣의 사향 냄새는 박테리아 작품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독특한 사향 냄새를 풍긴다. 미어캣들은 이런 냄새 물질로 영역을 표시하고 서로를 구분한다. 냄새가 일종의 명함인 셈이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사라 레클레어 연구원과 미국 듀크대 진화인류학과 크리스틴 드레아 교수팀은 미어캣이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 이유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확실한 효과 및 안전성을 동일한 임상 상황에서 검증하는 핵심 시험인 3상 시험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백신 개발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와 같이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면, 백신은 위와 같은 단계를 모두 거쳐야 실제 접종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단계를 거친 뒤에도 백신의 부작용을 항상 ... ...
-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 上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유저와 게임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액션과 플랫포머, 퍼즐, 슈팅 게임 등으로 장르를 구분해요. 따라서 게임의 장르가 액션일 수는 있어도 코미디일 수는 없어요. 그렇다면 조작 방식 자체가 매우 허술하다는 뜻이 될 테니까요.런 게임의 장르는 ‘플랫포머(Platformer)’예요. 흔히 ‘플랫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된 숫자열을 생각하고 있었다.‘이진수일까?’그러면 터무니없이 큰 수가 나왔다.‘/로 구분한 게 각각 수 하나씩일까?’그렇게 해서 10진수로 변환하면 76, 165, 50, 148, 6이 나왔다. 아무리 조합해도 어딘가에 연락할 만한 숫자가 나오지 않았다. 전화번호도 아니었다. 골똘히 암호를 생각하다 보니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발견된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