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직역
풀이
설명
해설
의역
해독
스페셜
"
번역
"(으)로 총 554건 검색되었습니다.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사람이 쓴 책으로 알고 보니 2008년 ‘초끈이론의 진실’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도
번역
됐다. 필자의 해석이 맞다면 원서 제목이 너무 모욕적이라(끈이론이 틀리다고 말할 가치조차 없다는 뜻이므로) 이런 책이 나왔는지도 몰랐다는 게 오히려 의아했다. 지난 주말 책을 읽어보니 충격적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뭐라도 열심히 해봐라. 고생하고 힘이 드는 것은 두려워할 일이 아니야. 사람은 어차피 병들어 죽는 거다.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지쳐서 죽는 건 매한가지야.” - 모옌, ... 위한 뇌과학 교양과학도서도 여러 권 썼다. 이 가운데 ‘뇌는 하늘보다 넓다’ 등 세 권이 우리글로
번역
돼 있다.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셔야 하는데…” 안 그래도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데
번역
일까지 하다 보니 하루 종일 앉아있다시피 했고, 결국 운동부족으로 허약한 허리근육이 더 버티지 못한 것일까. 문득 예전에 TV 한 프로그램에서 의자에 오래 앉아있는 게 건강에 좋지 않다며 높낮이를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것이다. 외국의 책방에서 한국문학 작품을 자연스럽게 만나는 풍경이나 외국친구에게
번역
된 한국 문학작품을 선물하는 풍경을 상상해보자. 생각만 해도 마음이 뿌듯하다.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것. 참고로 이 책의 부제는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이다. 최근
번역
출간된 책 ‘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에서 미국 뉴욕대 마틴 블레이저 교수는 지난 수십 년 사이 인류에게 나타난 현상인 급속한 키 증가 추세를 영양상태 개선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정량사회과학연구소의 응용수학자인 새뮤얼 아브스만의 저서 ‘지식의 반감기’가 최근
번역
됐다. 아브스만은 이 책에서 지식의 다이내믹한 본성을 고찰하고 있다. - 책읽는수요일 제공 책을 보면 의학지식의 붕괴 과정에 대한 예가 나오는데, 한 호주 연구팀의 결과에 따르면 외과 분야의 지식의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와 ‘과학에 크게 취해’라는 제목의 두 권으로 나뉘어
번역
서가 나왔다. 원 제목을
번역
하기가 애매해서인지 1권의 제목은 첫 에세이의 제목 ‘인류의 친구인가 적인가?(Friend or Foe of Mankind?’에서 따왔고 2권의 제목 역시 맨 앞에 나오는 에세이의 제목 ‘과학에 크게 취해(High on Science)’를 그대로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받았다. 즉 ‘The Coming Plague’의 노른자가 바로 에볼라인 셈이다. 아쉽게도 이 책은
번역
되지 않았고 검색을 해봐도 1976년 에볼라 등장을 상세히 다룬 문헌이 없는 것 같아 이 자리에서 이 책의 5장을 요약해본다. ●미지의 출혈열 사망자 속출 현재 에볼라 창궐로 심각한 곳은 서아프리카 세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상트 페테르부르크 육군성에서 기술제도사로 근무하며 도스토예프스키는 틈틈이 집필과
번역
을 했다. 1846년 발표한 중편 ‘가난한 사람들’이 당시 최고 평론가였던 비사리온 벨렌스키로부터 “이 천부의 재능에 충실하십시오. 당신은 위대한 작가가 될 것입니다”라는 극찬을 받으며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출간하며 주목을 받은 저술가 마이클 폴란의 최신작 ‘요리를 욕망하다’가 얼마 전
번역
출간됐다(원서는 2013년 출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이야기꾼답게 이번 책도 굉장히 재미있는데 구성부터 기발하다. 즉 ‘불, 물, 공기, 흙’이라는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철학자 엠페도클레스의 ‘4원소’에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