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스페셜
"
음식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은 위암이 생기면 수술을 한다. 위를 잘라내면
음식
을 소화시키기 어려워진다. 의학 발전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으므로 의대에서 위암 수술방법을 배우고 졸업한 학생이 중년의사가 되어 사회에서 활동을 하게 되면 아주 좋은 항암제가 개발되어 암세포를 떼어내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과 2A군(인체발암추정물질)에 비해 과학적 증거가 약하다. 실제 우리가 먹는
음식
가운데 술, 가공육이 1군이고 적색육(소고기, 돼지고기)이 2A군에 속한 것만 봐도 그렇다. 지금 첨가제로 먹는 수준으로는 걱정할 일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감미료 자체가 각종 건강에 문제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겨울을 빨리 왔고 추위가 매서웠다. 발진티푸스의 위력은 여전했고 굶주림을 해결할
음식
을 구하는 것은 어려웠다. 말을 잡아먹느라 타고 올 말이 없었고 말먹이나 얼음으로 목숨을 부지했으며 많은 병사들이 부대를 이탈하여 각자가 길을 찾아갔다. 모스크바로 가는 길에 환자를 수용한 곳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잡식을 하는 사람들도 보통 나이가 들수록 식사량이 줄고 고기를 덜 먹는 경향이 있어
음식
으로 섭취하는 타우린이 적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고기를 더 먹는 건 다른 성분이 노화를 촉진할 수 있어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 물론 오징어나 조개를 자주 먹으면 좋겠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존에 기여한 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3.05.28
박쥐는 혀에 해당하는 기관을 통해 사람으로 치면 ‘언어’에 해당하는 소리를 낸다.
음식
물 섭취에 도움을 주는 본연의 기능이 생물에 따라 독특하게 발전한 사례도 많다. 예를 들어 앵무새의 한 종류인 진훙잉꼬는 끝 부분이 원형으로 펼쳐지는 ‘말미잘 모양’의 혀를 사용해 꿀을 빨아먹는다.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음식
을 먹으면서 에너지 충족감을 통해 얻는 것이다. 하지만 쉽게 추측할 수 있듯이,
음식
을 먹어서 부족한 도파민을 채우려 해도 수분이 보충될 리도 없고 과잉 영양상태가 되기 쉬울 것이다. 만성 탈수증 상태면 비만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도 뇌 속 도파민 부족을 보상받으려는 생물학적 기전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통조림의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1)
2023.05.16
음식
을 보존하는 방법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전쟁을 치르러 가는 군인들이
음식
을 잘 공급받기 위해 보존방법을 찾으려 한 나폴레옹의 계획이 통조림 개발로 이어진 것이다. (2)에서 계속됩니다. ※ 참고문헌 1. Thomas G Russell, Terence M Russell, reader. Medicine in Egypt at the time of Napoleon Bonaparte.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즐겨 먹으면 내인성카나비노이드인 AEA와 2-AG가 많이 만들어져 신호가 증폭한다. 이런
음식
에 많이 들어있는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AEA와 2-AG 생합성의 원료이기 때문이다. 내인성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은 단순히 식탐을 늘릴뿐 아니라 간에서 지방을 합성해 지방조직에 저장하게 유도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
2023.04.25
보이듯이 나를 복제한다 해도 생김새만 아주 비슷할 뿐(그나마 영양적으로 다르게
음식
을 섭취하면 키 차이가 날 수도 있다) 나와 완전히 똑같은 사람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지만 일반인들이 복제기술을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당시 필자가 복제양 돌리의 탄생과정이 엽기적이 ... ...
[과기원은 지금] 예경무 DGIST 교수팀, 암 악액질 약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암 악액질을 개선하는 약물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악액질은 암 환자가 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통해 영양분을 보충해도 체중이 줄고 근육이 손실되는 전신 영양 부족 상태이다. 연구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악액질, 근감소증 및 근육 저널’에 5일 실렸다. ■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