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한 장으로 처리한 뒤에도 점과 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과정에서 바로 수학 원리가 쓰입니다. 이렇게 만든 3차원 사진과 영상에 얼굴에서 코나 귀처럼 튀어나온 부분의 깊이 정보를 더해 더 선명하고 현실적으로 만듭니다.연구팀은 앞으로 실시간 눈맞춤 영상 회의가 가능하도록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남극처럼 혹독한 환경에서도 잘 버틴다. 하지만 이끼가 화성을 뒤덮는다고 세상이 바로 달라지진 않는다. 간단한 계산을 해 보면 오랜 인내가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다.화성에 필요한 산소의 질량부터 구해 보자. 화성에 필요한 대기층의 질량은 지구 대기층의 25% 정도다. 화성의 표면적이 지구의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연주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상 속 세계를 재미있는 스토리와 함께 엮어 만든 게 바로 게임이다. 내 마음을 이끄는 코딩오 교수는 독자들에게 미국의 12세 소년 토마스 슈어즈를 소개했다. 토마스는 혼자서 ‘버스틴 지버’라는 두더지 잡기 게임 같은 여러 가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0이 된다는 점도 알게 됐다. 그 온도는 영하 273.15℃였다.이 성질을 이용해 만든 온도가 바로 오늘날 국제적 표준 온도로 쓰이는 절대온도 켈빈(K)이다. 절대온도눈금으로 1K은 섭씨온도 눈금 1℃와 간격이 같다. 섭씨온도에 273.15만 더하면 정확히 절대온도가 된다. 즉,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은 273.1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크게, 그리고 투명하게 자란 거였어요.한편, 손톱보다 작은 광물도 눈에 띄었어요. 바로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금강석’이었지요. 금강석은 탄소 원자가 그물 형태를 이루고 있어요. 그래서 세상에 있는 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하지요. 금강석 결정은 정삼각형 8개로 만드는 정팔면체 모양이에요. ... ...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있습니다. 이럴 땐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이번 종합계획에서 가장 논란이 됐던 부분은 바로 ‘계산기 사용’! 미국, 호주, 핀란드 같은 나라에서는 수학 시간에 계산기를 사용하는 게 특별한 일이 아닙니다. 시험을 볼 때도 계산기를 사용하죠. 하지만 우리나라나 일본에서는 계산기를 사용하는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전달된다. 약을 먹어야 할 시간에 약물이 확인되지 않거나 몸에 이상이 생기면 바로 의사 선생님과 연결된다. 원격 진료를 받고 나면 처방 결과는 집에서 가까운 병원이나 약국으로 전달되고, 나는 시기별로 건강관리법을 안내 받는다. 유전자에 새겨진 나의 건강 정보사람은 각자 고유한 유전자 DNA ...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과연 실제와 얼마나 닮았을까요?왜 하필 닭일까?닭으로 공룡을 재현해 볼 수 있는 비결은 바로 *발생 과정에 있어요. 척추동물은 발생 과정 초기에 공통적으로 아가미와 긴 꼬리 같은 원시적인 모습이 나타났다가 사라져요. 달걀 속 닭의 배아도 초기에는 긴 앞발과 긴 꼬리를 갖고 있는데, 그 모습이 ...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엉엉, 꽃 피는 봄이 왔는데, 내 친구들은 산으로 들로 놀러 간다는데, 애인이라고 하나 있는 거는 황금 같은 주말에 비 온다고 데이트 하기 싫다 그러고, 엉엉, 나는 정말 불행 ... 웃음꽃이 피었냐고요? 아니요. 소년을 발로 뻥 찼어요. “지금 프러포즈 한 거야? 똑바로 다시 준비해 와!!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이 교수는 또 “섬세한 이야기를 하려면 섬세한 관계식으로 추적해나가야 하는데, 그게 바로 편미분방정식의 역할”이라며, “수학계 최대 난제 중 하나인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에서 유일하게 해결된 푸앵카레 추측도 편미분방정식 덕분에 풀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아벨상 위원회는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