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상하지도 않은 식품을 버리는 건 낭비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바로
‘소비기한’이다. 소비기한은 유통기한과 달리 ‘먹어도 아무 탈이 없는 기한’을 뜻한다. 소비기한에 맞게 식재료를 쓰고 음식을 먹으면 아까운 음식을 버리는 일은 피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부정확한 결과를 출력했다.시들시들 힘을 잃어가던 딥러닝을 최근 부활시킨 주역은
바로
빅데이터다. 스마트폰이 폭발적으로 확산되면서 학습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전세계에서 쏟아져 나왔다. 현존하는 전체 데이터의 90%가 지난 몇 년간 만들어졌다는 통계도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서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우리나라에서 메르스 첫 환자가 나타난 후 사람들 가장 궁금했던 건
바로
치료제의 유무였다. 안타깝게도 2012년에 처음으로 나타난 메르스의 치료제를 개발하기엔 전세계 제약회사들은 너무나 할 일이 많았다. 하지만 치료법이 아예 없다고 할 수는 없다. 건강한 사람이 기저질환이 있는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억지로 잡아당기면 줄을 설치한 부위만 뜯겨나간다”고 말했다. 이규열 교수는 “배를
바로
세우는 과정에서 미수습자의 사체가 훼손되거나 유실될 수 있다”며 고개를 저었다.가장 우려스런 부분이다. 세월호를 들어 올리는 와중에 우현에 설치한 인양점(줄을 결속한 부위) 중 일부가 ... ...
옛날 옛적 말레이시아에…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모습이 낯설지가 않다. 마치 우리의 일상처럼 느껴진다. 바틴의 작품만이 갖는 장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스톰트루퍼라는 SF캐릭터를 말레이시아의 작은 마을 속에 풀어놓고 있음에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오히려 누구라도 사진을 보면 울고 웃으며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이항정리로 미래를 엿본다이항정리를 이용하면 아름다운 삼각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바로
파스칼의 삼각형입니다. 파스칼의 삼각형은 이항계수(nCr)를 순서대로 늘어놓은 삼각형 꼴의 모형을 말합니다. 단순하게 생겼지만 그 수학적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자연수의 수열에서 피보나치의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한 방정식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SW)다. 수많은 분자와 원자, 미립자를 수학 방정식으로 나타낸 뒤 컴퓨터로 계산하면 입자의 구조와 특성, 그리고 이들 입자로 이뤄진 복잡한 화학반응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화학을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자연을 생각하는 마음, 실에도 담아카르호프의 작품이 눈길을 끄는 또 다른 이유는
바로
‘실’에 있다. 은은하면서 알록달록한 실의 색감이 특히 매력적이다. 그런데 거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실도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염색하기 때문이다. 카르호프는 주로 자연 건조 방식으로 실을 염색하는데,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새로운 동물을 만들 때, 과학자들은 예상치 못했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바로
‘나비효과’ 때문이다. 사소한 변화가 증폭해 전혀 예상치 못한 크나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론이다. 한쪽에서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이로 인해 다른 한쪽에서는 태풍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단단한 광물이다. 수학을 품은 광물 이야기광물을 대표하는 특징 중에 또 다른 하나가
바로
결정 모양이다. 사실 결정이 눈에 보일 정도로 잘 자란 광물은 쉽게 찾기 어렵다. 따라서 몇 가지 대표 광물만 결정 모양이 잘 알려져 있다. 독자기자들은 운이 좋게도 눈으로 직접 결정 모양을 확인할 수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