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연못과 푸른 잔디밭을 가진 공원이 됐답니다. 그런데 이 공원에는 특별한 시설이 있어요.
바로
‘곤충호텔’이지요!곤충호텔은 곤충들에게 농약을 피할 수 있는 피난처를 만들어주자는 목적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어요. 2014년 서울시에서도 세대공감공원을 포함해 총 27개의 지역에 곤충호텔을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존재하던 디자인을 현실로 만드는 기술이
바로
파라메트릭 디자인이죠.이제 어울림 광장
바로
앞에 있는 배움터 안으로 들어가 볼까요? 바닥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벽면은 기울어진 둘레길을 지나면, 굽이굽이 곡선으로 이뤄진 계단이 나와요. 이 계단 역시 파라메트릭 디자인으로 만들었어요.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편 비슷한 시기에 다른 학자들도 이와 비슷한 문제로 골치아파하고 있었다.
바로
발생학자들이다. 분명 같은 DNA인데…발생학자들의 고민은 분자생물학자들보다 먼저 시작됐다. 19세기 발생학자들은 발생과 관련된 정보들이 어떻게 저장돼 있는지를 두고 전성설(preformation)과 후성발생(epigenesis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대비할 수 있도록 신경신호를 중계하는 것이다.편도체의 이런 작용은 태어날 때부터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자라면서 경험을 통해 특정 물체 및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 ‘공포 조건화’라 한다. 공포 조건화는 오래 전부터 연구돼 왔다. 1920년 미국의 심리학자 존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뒤 다시 볶거나 삶아야 훌륭한 맛이 난다’ 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 뒤, “이것이
바로
박 초정(박제가)의 개고기 요리법입니다”라고 적었다.박제가는 반찬을 만드는 솜씨도 좋았다. 특히 말린 늙은 호박을 이용해 나물 무침을 맛깔나게 만들었다. 당시 호박은 절에서만 먹는 채소였다. 이름은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위해 흥부에게 박씨 하나를 물어다 주지요. 많은 친구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이 새’는
바로
제비예요. 그런데 많은 새 중에서 왜 하필 제비가 나오는 걸까요? 제비의 습성을 알고 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거예요!사람이 사는 곳에 제비가 몰리는 이유을 보면 어느 날 커다란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따라 올라가면서 번쩍번쩍 빛을 낸다(되돌이 뇌격).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은
바로
되돌이 뇌격이다. 즉 우리가 본 번개는 대부분 땅에서 하늘로 솟구치는 현상이다. 전자가 내려오고 되돌이 뇌격이 일어나는 데는 단 1000분의 1초가 걸린다. 따라서 우리 눈에는 번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그래서 오히려 여러 종의 플랑크톤이 같은 틈새 시장에서도 공존할 수 있는 것이죠.
바로
카오스 이론입니다. 마치 교실의 책상 수보다 더 많은 수의 학생들이 책상에 앉아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것과 같죠.많은 사람들에게 수학을 알리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대중은 수학을 오해하고 있습니다.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함께 수학동아 독자기자단 활동을 하고 싶다며 지원서 5부를 건넸다. 그때 그 학생이
바로
청주 중앙여중 수학동아리 파이의 1기 회장, 3학년 신현 학생이었다.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수학동아를 읽기 시작한 신현 학생은 2학년이 되던 해, 친구들과 함께 수학을 재미있게 즐기고 싶어졌다. 그래서 같은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통각 수용체를 통해 전달된다고 알려져 있지요. 히스타민이 자극한 자유신경종말이
바로
통증을 전달하는 수용체랍니다.가려움이 통증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 결과도 있어요. 미국 워싱턴대학교 첸 조우펭 교수팀은 실험쥐의 유전자 중 고통에 반응하는 ‘BRAF’ 유전자가 활성화되도록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