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든 것이다. 이런 상태를 ‘에멀전’이라고 한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에멀전은
바로
마요네즈다. 마요네즈는 물(식초) 안에 기름방울(식용유)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에멀전이다.빵을 찍어먹는 비네그레트 역시 마요네즈처럼 물(비네거)과 기름(올리브유)를 섞어 만든다. 하지만 포크로 아무리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 경우 둘 중에 한쪽이 비활성화돼야 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XIST가 하는 일이
바로
이런 비활성화다. 그런데 XIST가 적게 발현되면 X염색체 두 개가 모두 활성화돼 이상이 생긴다.‘HOTAIR’라는 lncRNA도 주목할 만하다. 이 RNA는 자신이 위치한 염색체가 아닌 다른 염색체의 유전자를 억제한다. 1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생식세포의 형성을 돕는 세포들의 RNA 조성이 바뀐다. 그중 크기가 작은 간섭RNA는
바로
옆의 생식세포로 넘어가 DNA의 발현을 조절한다. 동물에서도 작은 크기의 RNA가 세포와 조직 간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쩌면 이것이 보통 세포와 생식세포 사이의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천문학자들은 천왕성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미지의 행성을 80년간 찾아 헤맸는데,
바로
명왕성이었다. 그런데 미스터리 행성에 대한 기대가 너무 컸던 것일까. 기대는 이내 실망으로 바뀌었다. 명왕성이 지구의 달보다 작았던 것이다. 당시 국제천문연맹(IAU)은 그럼에도 명왕성을 행성으로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공기가 일으키는 영향을 우리는 알고 있다. ‘열대야’다.한반도 폭염의 핵심은
바로
이 열대야다. 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의미하는 열대야는 단순히 밤잠을 방해하는 귀찮은 존재가 아니다. 한반도에서 폭염지속일수를 늘려 사망자를 증가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2040년대, 열사병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무척 화가 나는 일이었지만, 이 주제로 박사학위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교수가
바로
가모프였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실상 우주 핵생성 문제를 푸는 데 가모프는 거의 도움을 주지않았다. 하지만 사람들은 빅뱅이론을 말할 때 가모프를 이야기하지 앨퍼와 허먼의 이름은 거의 언급하지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 정도 작은 숫자 하나 정하려고 그 수고를 하나 싶지만 눈에 보이지도 않는 그 전진이
바로
과학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당장 혜택을 받는 쪽은 나노화학이나 나노바이오 분야다. 몰은 ‘몰 농도’라는 말처럼 농도를 표현할 때 많이 이용된다. 혈액 속에 아주 작은 단백질이 몇 천개 있다, 몇 만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큰구슬우렁이는 바지락을 좋아해요.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구멍이 뚫린 조개껍데기가
바로
큰구슬우렁이에게 잡아먹힌 바지락의 껍데기랍니다.재첩바지락과 비슷하게 생긴 이 조개는 재첩과에 속하는 ‘재첩’이다. 다 자라도 길이가 2cm 내외로 다른 조개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다. 재첩은 하천이나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다시 허파로 들어가요. 이때는 소리가 안 난답니다. 허파에서 나온 공기를 입 밖으로
바로
내보내지 않고 노래주머니로 보내는 이유는 소리를 크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노래주머니가 팽창하면서 바깥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 주변 공기를 진동시키거든요. 후두에서 만든 소리는 이 진동을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편 비슷한 시기에 다른 학자들도 이와 비슷한 문제로 골치아파하고 있었다.
바로
발생학자들이다. 분명 같은 DNA인데…발생학자들의 고민은 분자생물학자들보다 먼저 시작됐다. 19세기 발생학자들은 발생과 관련된 정보들이 어떻게 저장돼 있는지를 두고 전성설(preformation)과 후성발생(epigenesis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