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존재하던 디자인을 현실로 만드는 기술이
바로
파라메트릭 디자인이죠.이제 어울림 광장
바로
앞에 있는 배움터 안으로 들어가 볼까요? 바닥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벽면은 기울어진 둘레길을 지나면, 굽이굽이 곡선으로 이뤄진 계단이 나와요. 이 계단 역시 파라메트릭 디자인으로 만들었어요.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무척 화가 나는 일이었지만, 이 주제로 박사학위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교수가
바로
가모프였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실상 우주 핵생성 문제를 푸는 데 가모프는 거의 도움을 주지않았다. 하지만 사람들은 빅뱅이론을 말할 때 가모프를 이야기하지 앨퍼와 허먼의 이름은 거의 언급하지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 정도 작은 숫자 하나 정하려고 그 수고를 하나 싶지만 눈에 보이지도 않는 그 전진이
바로
과학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당장 혜택을 받는 쪽은 나노화학이나 나노바이오 분야다. 몰은 ‘몰 농도’라는 말처럼 농도를 표현할 때 많이 이용된다. 혈액 속에 아주 작은 단백질이 몇 천개 있다, 몇 만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큰구슬우렁이는 바지락을 좋아해요.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구멍이 뚫린 조개껍데기가
바로
큰구슬우렁이에게 잡아먹힌 바지락의 껍데기랍니다.재첩바지락과 비슷하게 생긴 이 조개는 재첩과에 속하는 ‘재첩’이다. 다 자라도 길이가 2cm 내외로 다른 조개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다. 재첩은 하천이나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연못과 푸른 잔디밭을 가진 공원이 됐답니다. 그런데 이 공원에는 특별한 시설이 있어요.
바로
‘곤충호텔’이지요!곤충호텔은 곤충들에게 농약을 피할 수 있는 피난처를 만들어주자는 목적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어요. 2014년 서울시에서도 세대공감공원을 포함해 총 27개의 지역에 곤충호텔을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 경우 둘 중에 한쪽이 비활성화돼야 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XIST가 하는 일이
바로
이런 비활성화다. 그런데 XIST가 적게 발현되면 X염색체 두 개가 모두 활성화돼 이상이 생긴다.‘HOTAIR’라는 lncRNA도 주목할 만하다. 이 RNA는 자신이 위치한 염색체가 아닌 다른 염색체의 유전자를 억제한다. 1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생식세포의 형성을 돕는 세포들의 RNA 조성이 바뀐다. 그중 크기가 작은 간섭RNA는
바로
옆의 생식세포로 넘어가 DNA의 발현을 조절한다. 동물에서도 작은 크기의 RNA가 세포와 조직 간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쩌면 이것이 보통 세포와 생식세포 사이의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공기가 일으키는 영향을 우리는 알고 있다. ‘열대야’다.한반도 폭염의 핵심은
바로
이 열대야다. 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의미하는 열대야는 단순히 밤잠을 방해하는 귀찮은 존재가 아니다. 한반도에서 폭염지속일수를 늘려 사망자를 증가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2040년대, 열사병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주 먼 옛날에도 활발하게 진행됐어. 과거에 뇌 연구를 했던 방식은…, 놀라지 마!
바로
‘해부’!언어를 담당하는 뇌 부위 발견과거에는 사람 뇌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어요. 뇌를 직접 해부하는 방법밖에 없었지요. 우리 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부위도 해부를 통해 밝혀졌어요.186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든 것이다. 이런 상태를 ‘에멀전’이라고 한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에멀전은
바로
마요네즈다. 마요네즈는 물(식초) 안에 기름방울(식용유)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에멀전이다.빵을 찍어먹는 비네그레트 역시 마요네즈처럼 물(비네거)과 기름(올리브유)를 섞어 만든다. 하지만 포크로 아무리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