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는 금지된 바다를 항해하여 이방의 해안에 착륙하고 싶다”고 말했던 것은 바로 이런 염원을 잘 표현해 주는 말이다. 아이작 아시모프와 칼 세이건이 인류 역사상 최초의 과학소설이라고 말했던 요하네스 케플러의 작품에 이런 염원이 담겨있다. 케플러는 1611년 무렵 ‘솜니움’(라틴어로 꿈)이란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원장님개미학자 되어 보기 체험을 마친 명예기자들은 진짜 개미학자를 만나러 갔어요. 바로 지난 해 12월 국립생태원 초대 원장으로 취임한 우리나라의 대표 생태학자 최재천 원장님이에요. 원장님은 친구들이 왔다며 반갑게 맞이해 주셨어요.자기 소개를 부탁드릴게요.예전에는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탐사선이 정식으로 진입한 건 그로부터 35년 뒤로, NASA가 2004년 쏘아올린 메신저 호가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메신저는 6년 반 동안 우주를 날아 2011년 3월 수성 궤도에 진입했다. 메신저는 수명이 다하는 2015년 4월 30일까지 약 4년 동안 궤도를 돌면서 ‘전령’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특히 메신저는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컴퓨터가 거래를 맡기 시작한 것이다. 트레이딩 플로어는 텅 비었고, 뉴저지 주(뉴욕시 바로 옆의 주) 북부 13개 거래소의 컴퓨터 서버에서 모든 거래가 이뤄진다.중개인이 사라지자 다음은 투자자가 사라졌다. 가격, 추세, 거래량 등을 분석해 컴퓨터가 직접 의사결정을 해 주식을 사고파는 알고리듬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 연구원 2명이 테이블 위로 휴대전화를 올리자 화면에 충전 중을 의미하는 번개가 바로 나타났다(134쪽 사진 참고). 휴대전화를 돌리고 뒤집고 흔들어도 휴대전화 화면의 번개는 사라지지 않았다. 임 교수는 “기존에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충전 가능한 제품은 개발돼 있었지만, 기존 코일(루프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한국과는 달리 건조했다. 햇살이 내리꽂히는 아스팔트에선 아지랑이가 피어올랐지만, 바로 옆의 그늘만 들어가도 쌀쌀해 옷깃을 여며야 했다. 뉴스에선 연일 산불 소식을 알렸다. 학교 안에서 가뭄의 흔적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하루 종일 돌아다닌 끝에 ‘노랗게 뜬 나뭇잎’과 ‘바닥을 드러낸 ... ...
- [Life & Tech] 여름이 추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랬쪄요? 잘했쪄요~.” “우씨!” 물에 녹았던 탄산칼슘이 다시 굳으면서 생긴 것이 바로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석순, 종유석, 석주입니다. 천장에서 바닥으로 한 방울씩 떨어져 마치 대나무 순처럼 쌓인 게 석순, 천장에서 흐르다가 그대로 굳어버린 고드름이 종유석이지요. 석순과 종유석이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서로 달라 문제가 됐다”며 “우리 연구팀이 영국팀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찾아내 바로잡았다”며 기술력을 뽐냈다.“그동안 온도는 다른 단위와 멀리 떨어져 있는 외딴섬과 같았어요. 기준이 다른 단위와 관계가 없었거든요. 이번에 볼츠만 상수를 기준으로 삼게 되면서 질량이나 시간 등 다른 ... ...
- 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밖에서 처음으로 외계 행성계를 찾아내 종횡무진 개척한 세대라고 말이다. 이번 특집은 바로 이런 세대만이 기록할 수 있는 모험담이다. 우리가 태양계 행성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었는지, 우리처럼 생겼으리란 보장도 없는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담았다. 2015 ‘행성 ... ...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학문이다. 따라서 수학에는 본질적으로 발명이란 없다. 여기에 단 한가지 예외가 있으니, 바로 미적분학이다. 17세기 두 천재가 발명한 미적분학을 통해 인류는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고 현대의 다양한 사회현상까지 상세히 해석하고 예측해 왔다. 우리는 미적분학을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고 ... ...
이전365366367368369370371372373 다음